손으로 약 10㎝ 깊이 파헤치며 정밀조사…매장문화 조사기관이 총괄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옛 광주교도소 5·18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 발굴이 오는 6일부터 문화재 출토방식으로 전환된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05/AKR20171105015551054_03_i.jpg)
5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재소자 농장 터에서 손으로 땅을 파 암매장 흔적을 찾은 작업이 6일 오전 시작된다.
매장문화 조사와 연구, 보존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단체 대한문화재연구원이 5·18재단 의뢰로 발굴 실무와 현장 총괄을 맡는다.
연구원은 암매장 추정지에 작업자를 투입해 작은 삽 등 손 공구로 약 10㎝ 깊이씩 땅을 파헤치면서 정밀조사를 한다.
의심스러운 물체가 나타나면 채로 흙 알갱이를 걸러내 유해 여부를 선별한다.
소형 굴착기도 현장에서 대기하며 중장비가 필요할 경우 일손을 거든다.
애초 현장 총괄을 맡기로 했던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은 최인선 순천대 문화유산연구소장 등 고고학 분야 전문가 그룹과 함께 발굴 전반을 자문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05/AKR20171105015551054_05_i.jpg)
5·18재단은 지난 4일 옛 교도소를 소유한 법무부로부터 발굴 착수 승인을 받자마자 현장에 중장비를 배치하는 등 작업에 들어갔다.
공정은 콘크리트 포장과 수풀 등 겉흙층 장애물을 제거하고, 쇠말뚝과 노끈으로 작업 구획을 나누는 단계까지 마친 상태다.
5·18 암매장 추정지 발굴 현장에는 유적지 조사에서 쓰이는 트렌치(Trench·시굴 조사 구덩이) 설치도 이뤄질 예정이다.
트렌치는 농장 터 땅 밑에 유해가 존재하는지, 과거 몇 차례나 흙을 파내고 다시 메웠는지 등 정교한 지질 정보를 제공한다.
흙을 건드려 구덩이를 파낸 적이 있는지, 중장비를 동원했는지 손으로 작업했는지도 알 수 있다.
땅속에 있는 물체가 시신인지 아닌지, 시신이 있었는데 매장 후 다시 파갔는지 등 땅속 변동 이력도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
재단은 날씨 상황이 좋다면 발굴 착수 약 15일 뒤에 유해 존재 여부가 판명된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 5·18 행방불명자 유해가 나오면 광주지방검찰청이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재단은 유해수습과 신원확인 주체를 두고 검찰과 협의 중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05/AKR20171105015551054_04_i.jpg)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3공수 지휘관이 검찰에서 '시신 12구를 2구씩 포개서 묻었다'고 진술한 6개의 구덩이를 찾는 게 이번 발굴의 최우선 목표"라고 말했다.
재단과 5월 단체는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여단 지휘관이 검찰 조사에서 작성한 약도와 시민 제보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 일원을 5·18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