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소비자 최우선 변함없어…'사람에 대한 투자' 늘려야"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7일 금융권과 핀테크 기업의 상호 협력을 통한 상승효과를 강조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체인 아이디(CHAIN ID)' 등을 모범 사례로 들었다.
최 원장은 이날 금융연구원과 금융연수원이 '4차 산업혁명과 금융의 미래, 그리고 금융인재 양성'을 주제로 연 콘퍼런스 축사에서 "우리나라의 핀테크 발전은 꽤 더딘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체인 아이디를 두고 "인증 한 번으로 여러 증권사와 거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공동인증 서비스'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사례로 좋은 본보기"라고 말했다.
지난달 말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체인 아이디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한 공동인증 서비스다. 이 서비스를 이용해 한 증권사에서 인증을 받으면 별도의 등록 없이 다른 증권사에서도 바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다.
최 원장은 "지난해 은행들을 중심으로 핀테크 서비스 개발을 돕는 '금융권 공동 오픈 플랫폼'을 세계 최초로 구축했다"며 "그런 시도가 계속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그러면서도 "금융소비자를 최우선으로 두는 기조에 변함이 없어야 한다"며 "4차 산업혁명으로 금융의 외연이 바뀐다 할지라도 금융소비자는 금융시스템의 근본이며, 금융회사의 지속성장을 위한 동반자"라고 말했다.
그는 또 "금융권은 단기 성과에 치중한 나머지 사람에 대한 투자에는 소홀했던 게 사실"이라며 "창의적 사고와 도전 정신으로 무장한 인재 양성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간과 첨단기술이 공존하는 시대에서 도태되지 않도록 융합형 전문가 양성에 더 큰 관심을 두고 투자를 늘려나가 한다"며 규제와 기술의 합성어인 '레그테크(RegTech)'처럼 효율적인 규제 준수 메커니즘을 장려하겠다고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06/AKR20171106170900002_01_i.jpg)
zhe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