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민반발 고려 공청회 개최…애초 계획 차질 불가피
(광주=연합뉴스) 정회성 기자 = 광주시가 첨단 3지구에 들어서기로 예정된 환경기초시설을 전면 재검토하기로 했다.
주민반발을 의식해 공청회 개최 등을 거쳐 입지를 다시 선정하겠다는 뜻이어서 사업 추진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12/AKR20171112044800054_01_i.jpg)
광주시는 광주연구개발특구 첨단3지구 내 폐기물 및 하수처리시설 설치를 반대하는 주민 의견을 수용, 계획을 다시 검토한다고 12일 밝혔다.
시는 주민 주도 공청회를 개최해 그 결과를 새로운 사업 계획에 반영할 방침이다.
첨단3지구에 포함된 북·광산구, 전남 장성군 지역 대표와 협의해 공청회 일정, 장소, 주제 등을 선정해 열겠다고 덧붙였다.
공청회는 내년 초에나 열릴 전망이다. 결과 도출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첨단3지구 인근 주민들은 광주시청 앞에서 폐기물·하수 처리시설 설치를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전문가 등이 참여한 공청회 개최 등을 요구했다.
첨단3지구 개발은 북구 월출동·광산구 비아동·전남 장성군 남면 일대 380만여㎡를 1, 2단계로 나눠 2025년까지 산업단지·주거·상업시설 등을 조성하는 매머드급 사업이다.
보상비 4천666억원과 공사비 3천746억원 등 1조217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다.
첨단3지구는 정부연구개발특구인 만큼 광기반 융복합, 차세대 전지, 친환경자동차부품, 스마트케어가전 등 첨단산업 클러스터 구축을 목표로 한다.
2011년 연구특구로 고시됐으나 그린벨트 해제 쿼터량 부족 등으로 지지부진했다. 올해 9월에야 국토부와 그린벨트 쿼터량 협의를 마무리했다.
광주시는 연내에 주민공람과 전략환경영향평가를 마무리하고 이르면 2019년 초 착공할 계획이었지만 환경기초시설 입지가 새로운 문제로 떠올랐다.
광주시는 토지이용계획에 산단 내 발생 폐기물 처리시설(연간 3만5천t)은 광산구 비아동에, 하수처리시설(하루 1만4천t)은 인접한 장성군 남면에 설치하기로 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환경기초시설은 시중에 떠도는 소각장이나 분뇨처리시설과 무관하다"며 "폐기물이나 하수시설은 위치, 규모, 1 하수처리장과의 연계 방안 등 전반적인 내용을 검토해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h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