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도 철수…알뜰폰업계, 경영난에 줄폐업 우려 고조(종합)

입력 2017-11-14 11:47  

홈플러스도 철수…알뜰폰업계, 경영난에 줄폐업 우려 고조(종합)

300억 도매대가 인하에도 요금할인 확대에 경쟁력 확보 난항

일부 업체 서비스 품질 저하…업계 "추가 대책 마련해달라"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이도연 기자 = 알뜰폰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기대했던 도매대가 인하 폭이 애초 예상치에 미치지 못한 데다 25% 요금할인 후폭풍까지 겹치며 돌파구를 찾기 힘든 상황이다.

대형마트인 홈플러스마저 알뜰폰 사업 철수를 결정하며 연쇄 폐업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홈플러스 30일 서비스 종료…가입자 이탈에 알뜰폰업계 '노심초사'

홈플러스는 이달 30일부로 알뜰폰 서비스를 종료한다고 14일 밝혔다.

홈플러스는 KT와 LG유플러스 망을 빌려 '플러스 모바일'이라는 브랜드로 알뜰폰 사업을 해왔는데 2015년 6월부터 알뜰폰 신규 가입자를 받지 않았다.

홈플러스는 기존 가입자에게는 다른 통신사인 KT와 LG유플러스로의 이동을 안내하고 있다.

현재 홈플러스 알뜰폰 가입자 수는 4천여명 정도이며 대부분의 가입자가 다른 통신사로 이동을 마친 상황이다.

알뜰폰 가입자의 이탈 현상은 한층 심해지고 있다.

9월에는 알뜰폰에서 이통 3사로 옮겨간 고객이 유입 고객보다 366명 많았고, 10월에는 1천648명으로 격차가 더욱 커졌다.

올해 1분기까지만 해도 이통사에서 알뜰폰으로 유입된 고객이 이탈 고객보다 2만명 이상 많았지만 2분기부터 급감하기 시작해 7월에는 처음으로 이탈 고객이 유입 고객을 추월했다. 8월 잠시 유입 고객이 앞섰지만 9월부터 다시 역전됐다.


◇ 도매대가 인하 미진, 요금할인 확대가 '직격탄'

이러한 알뜰폰 고객 감소는 9월 들어 25% 요금할인과 갤럭시노트8 등 프리미엄폰의 잇단 출시 등 악재가 이어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나마 기대를 걸었던 도매대가 인하마저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알뜰폰업계의 위기감은 더욱 커졌다.

도매대가는 알뜰폰이 이통사에 망을 빌리는 대가로 지불하는 금액으로 정부와 망 의무제공 사업자인 SK텔레콤[017670]이 매년 협상을 거쳐 결정한다.

협상 결과 양측은 LTE 정액요금제(데이터 요금제)의 수익배분 도매대가 비율을 전년 대비 평균 7.2%포인트 인하했다. 애초 목표치 10%포인트보다 낮다.







정부는 도매대가 인하 효과를 연간 300억원 수준으로 추정했다. 이통사로서는 그만큼 수익이 줄어드는 셈이지만, 증권가에서는 실제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국투자증권 양종인 연구원은 "알뜰폰 전체 가입자 증가로 올해 망 도매대가 절대 규모의 감소 폭은 미미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알뜰폰업계는 실망스러운 분위기다. 특히 이용자가 빠르게 느는 고가 요금제에서의 인하 폭이 적다는 점을 우려한다. 데이터 11GB 이상요금제의 경우 인하율은 1.3∼3.3%포인트에 불과했다.

더욱이 예년에는 기본료를 빼고 인하율을 산정했지만, 올해는 기본료 폐지분을 인하율에 포함해 실제 인하율은 더 적다는 지적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월 수천원의 기본료 폐지분을 제외하면 고가 요금제의 도매대가는 거의 인하되지 않았다"라며 "2G와 3G에 적용되는 단위당 종량도매대가 인하 폭도 예년과 비슷해 큰 효과를 기대하기 힘든 실정"이라고 말했다.







◇ 알뜰폰업계 6년간 누적 손실 3천300억…'폐업설 확산'

알뜰폰은 2011년 출범 후 적자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 누적 영업 손실 규모는 3천309억원에 달한다.

업체의 경영난은 고객 피해로 이어지고 있다. 이지모바일은 최근 경영난으로 고객센터 통화 연결이 원활치 못해 이용자의 원성을 샀다.

SK텔링크 등 대형 업체들도 브랜드 이름을 개편하고, 변화를 꾀하고 있지만, 시장 전망은 여전히 어둡다.

보편요금제마저 도입되면 대다수 중소업체는 직격탄을 피하기 힘들 전망이다.

이미 업계에서는 일부 업체의 폐업설이 돌고 있다.

한국알뜰통신사업자협회 관계자는 "추가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우선 사회적 논의기구(가계통신비 정책협의회)에서 알뜰폰 활성화 방안을 함께 논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okk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