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연합뉴스) 여운창 기자 = 광주시는 '시민을 품고, 세계와 연대하는 공존과 포용의 인권공동체 광주'를 주제로 제2기 인권증진 및 인권도시 기본계획(인권도시 기본계획)을 수립했다고 13일 밝혔다.
인권도시 기본계획은 1기에서 인권전담부서 신설, 인권헌장 선포, 인권옴브즈맨 도입 등 제도 도입 위주로 시행됐다.
내년부터 2022년까지 운영되는 2기는 1기 운영 결과를 토대로 시민이 원하는 인권정책, 사회적 약자 의견 수렴 등을 더해 구체적 정책 실행방안을 마련한다.
특히 계획 초기 단계부터 인권증진시민위원회·인권정책라운드테이블 등 인권 거버넌스와 시민단체 등을 참여시켰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13/AKR20171113149000054_01_i.jpg)
제2기 인권기본계획은 5대 핵심분야 중에서도 장애인, 노인, 여성, 이주민, 어린이·청소년 등 사회적 약자 인권증진 분야 중심으로 마련됐다.
장애인 분야는 '자신이 삶을 선택할 수 있는 차별없는 도시'를 주제로, 핵심과제는 일상생활 속 차별요소 없애기 등 7개다.
'당당하게 누리는 광주'를 주제로 내건 노인 분야는 노인인권교육 확대 등 10개 핵심과제를 선정했다.
여성 분야 핵심과제는 '성차별 없는 지속가능한 성평등 인권도시'를 주제로 지역여성 대표성 제고 등 11개를 과제로 뽑았다.
이주민 분야는 '평화롭게 공존하는 이주민과 선주민'을 주제로 다문화 민감성 교육 등 8개 과제를 핵심과제로 정했다.
'어린이·청소년과 함께 만드는 행복한 광주공동체'를 주제로 한 어린이·청소년 분야의 핵심과제는 참여시스템 정비 등 8개다.
인권도시 분야는 인권제도와 인권행정 강화, 인권공동체 문화 형성, 인권행정 협치 체계 구축, 인권도시 광주 위상 강화를 위한 인권영향평가제 확대 실시 등 17개 핵심과제로 구성됐다.
광주시는 핵심과제의 세부사업을 다음 달 중 확정하고 각 부서에 관련 내용을 전달할 계획이다.
부서별 정책 시행에 대한 모니터링과 평가도 꾸준히 벌이기로 했다.
김수아 시 인권평화협력관은 "1기를 거쳐 2기는 그동안의 성과를 기반으로 시민이 삶 속에서 인권을 체감할 수 있도록 운영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bett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