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국제세미나 개최…한·중·일·독 활성화 사례 소개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15일 정보기술(IT)과 금융을 접목한 '핀테크' 산업을 두고 "막중한 책임이 따르는 혁신임을 명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 원장은 이날 금감원 주최한 '핀테크 국제세미나' 개회사에서 "핀테크가 새로운 리스크를 야기할 수 있다는 우려 목소리도 적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개인정보 수집에 따른 사생활 침해, 분산원장 기술과 자동화된 의사 결정 위험성을 거론하면서 "모든 혁신에 있어 안정성 및 건전성, 소비자 및 금융 포용이 최우선시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당국은 핀테크 혁신에 친화적인 감독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며 "혁신을 저해하는 불합리한 규제와 경쟁 제한 요소를 정비하고, 자발적인 기술 투자와 서비스 개발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14/AKR20171114173900002_02_i.jpg)
그는 또 "당국 개입으로 생길 수 있는 왜곡을 최소화하기 위해 감독의 기술적 중립성 원칙을 지켜야 한다"며 "규제 준수를 자동화하는 레그테크(RegTech)는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의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기대했다.
최 원장은 "핀테크 시대에서 금융 서비스는 훨씬 빠른 속도로 국경을 초월해 이뤄질 수 있다"며 "국제기구와 각국 금융감독당국은 국가 간 거래에 공조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회사로 시작된 이번 행사에는 12개국 26개 기관·기업이 참여했다. 특히 우리나라 금융회사 진출 수요가 많은 몽골, 태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 신흥시장국 당국 고위 인사들이 초청됐다.
또 우리나라 금융위원회를 비롯해 독일 금융감독청, 일본 금융청, 중국 은행업감독관리위원회와 국가인터넷금융협회가 자국의 핀테크 활성화 지원 정책을 소개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14/AKR20171114173900002_01_i.jpg)
zhe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