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전국경제인연합회는 일본 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와 함께 17일 서울 여의도 전경련회관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 유통산업 발전방향' 한·일 공동세미나를 열었다.
세미나에 참석한 양국 경제계와 학계 인사들은 4차 산업혁명 시대 격변기를 맞은 유통기업들이 서비스 혁신을 이루도록 정부가 규제에만 몰두하지 말고 산업 생태계를 육성하는 데 힘써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연승 단국대 교수는 "현재 유통산업은 증강현실(AR)·가상현실(VR) 쇼핑, 인공지능(AI), 빅데이터를 활용한 서비스로 진화하면서 정보와 지식기반 플랫폼사업자로 변화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그러나 국내 유통산업은 여전히 대규모 점포에 대한 출점 및 영업규제 이슈가 지속하면서 혁신과 미래 투자에 대한 동력이 살아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정 교수는 "정부가 전자상거래 등 유통플랫폼 사업을 지원하고 4차 산업혁명 관련 인프라 투자를 확대하는 등 적극적인 유통산업 육성정책을 펴는 동시에 생태계 관점에서 산업 파이(pie) 자체를 확대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설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카와노 사토시 일본 센슈대 교수는 일본에서 대형 유통업체에 대한 규제를 담은 '대규모점포법'이 시행됐던 1974∼2000년 당시 규제 내용과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카와노 교수는 "대규모점포법은 면적 1천500㎡ 이상 점포에 대해 영업과 신규 출점을 제한했고 그 결과 소비자 후생 침해, 외국 기업에 대한 비관세 장벽으로서 부작용, 유통산업 경쟁구조 왜곡 등 여러 부작용이 발생해 폐지됐다"고 밝혔다.
일본에는 이후 '대규모소매점포입지법'이 신설돼 대규모 점포의 영업규제가 사라졌으며, 일부 지자체별로 상황에 맞는 사회공헌 방안을 제출하도록 하는 규제만 존재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이성진 롯데 미래전략연구소 소장은 AI로 고객 요구를 파악해 출시된 상품과 정맥으로 결제하는 스마트 편의점 등 첨단기술 적용 사례를 소개했다.
이 소장은 "성공적 유통혁신을 위해서는 변화에 대한 믿음과 선제적 투자, 외부와 협력할 수 있는 오픈 이노베이션, 데이터 등을 관리하는 내재적 역량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