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미 자동차 수출증가 '0%'…수입은 4.6%↑

입력 2017-11-19 06:10   수정 2017-11-19 12:59

올해 대미 자동차 수출증가 '0%'…수입은 4.6%↑

FTA 발효 후 미국車 국내 점유율 9.6%→18.0% 급증



(서울=연합뉴스) 김영현 기자 = 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은 정체된 반면 수입은 빠르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2016년부터 한국산 승용차에 대한 미국 측 관세(2.5%)가 철폐된 이후에도 대미 수출은 오히려 감소하거나 제자리걸음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이 한미 FTA 발효 뒤 한국시장 점유율을 두 배나 늘린 것과 비교하면 한국차의 대미 수출 부진 현상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미 FTA 개정협상을 앞둔 미국이 자동차를 불공정 무역의 대표 사례로 꼽고 있는 만큼 이 같은 통계는 향후 우리 측의 주요 반박 논리로 활용될 전망이다.

19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해(이하 1~9월 기준) 국산 자동차의 대미 수출 금액은 112억5천9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200만달러 늘어나는데 그쳤다. 증가율 '0%'다.

국산차의 대미 수출 증가율은 지난해에도 전년보다 10.9% 줄어든 바 있다.

이로 인해 전체 대미 수출에서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해 23.5%에서 올해 21.6%로 줄어들었다.

자동차부품 수출도 지난해 2.8% 감소했고 올해는 45억4천만달러로 작년보다 13.4%나 축소됐다.

무역협회는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은 대미 수출 1, 2위 품목이지만 주력 모델 노후화, 업체 간 경쟁 심화, 마케팅 비용 증가 등으로 완성차 수출이 정체되고 있다"며 "이 때문에 부품 수출도 동반 감소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미국산 자동차 수입은 크게 늘었다. 올해 13억500만달러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6% 늘었다.

특히 2012년 한미 FTA 발효 후 미국산 자동차 수입은 연평균 37.2%씩 증가했다.

이로 인해 미국산 승용차의 한국시장 점유율은 FTA 발효 전 9.6%에서 지난해 18.0%로 확대됐다. 2015년부터는 일본산 점유율을 추월했다.

한국은 미국 자동차에 대한 수입 관세(발효 전 8%)를 발효 즉시 절반(4%)으로 낮춘 뒤 2016년 완전히 없앴다. 미국 자동차는 한미 FTA 관세 인하(철폐) 혜택을 톡톡히 본 셈이다.

무역협회는 "이 같은 통계는 자동차 부문에서 미국의 대한국 무역적자는 한미 FTA로 인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설명해준다"고 밝혔다.

[표1] 2017년 대미국 수출 상위 10대 품목(단위:10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

│ 순위 │품목│2016년 1~9│ 2017년 1~9월 │

│ ││월│ │

├───┼──────────┼─────┼─────┬────┬─────┤

│ ││ 수출금액 │ 수출금액 │ 증가율 │수출 증감 │

│ ││ │ ││액│

├───┼──────────┼─────┼─────┼────┼─────┤

│1 │자동차 │11,257│11,259│ 0.0│ 2│

├───┼──────────┼─────┼─────┼────┼─────┤

│2 │자동차 부품 │ 5,240│ 4,540│ -13.4│ -700│

├───┼──────────┼─────┼─────┼────┼─────┤

│3 │무선통신기기│ 5,878│ 4,464│ -24.0│-1,414│

├───┼──────────┼─────┼─────┼────┼─────┤

│4 │석유제품│ 1,793│ 2,595│44.7│ 802│

├───┼──────────┼─────┼─────┼────┼─────┤

│5 │반도체 │ 2,562│ 2,545│-0.6│ -17│

├───┼──────────┼─────┼─────┼────┼─────┤

│6 │컴퓨터 │ 1,150│ 1,686│46.6│ 536│

├───┼──────────┼─────┼─────┼────┼─────┤

│7 │철강관 및 철강선│ 643│ 1,493│ 132.3│ 850│

├───┼──────────┼─────┼─────┼────┼─────┤

│8 │고무제품│ 1,253│ 1,201│-4.2│ -52│

├───┼──────────┼─────┼─────┼────┼─────┤

│9 │전력용기기 │ 364│ 1,032│ 183.6│ 668│

├───┼──────────┼─────┼─────┼────┼─────┤

│10│원동기 및 펌프 │ 959│ 990│ 3.3│31│

├───┴──────────┼─────┼─────┼────┼─────┤

│소계(10대 품목) │31,099│31,805│ 2.3│ 706│

├──────────────┼─────┼─────┼────┼─────┤

│총수출 │49,596│52,223│ 5.3│ 2,627│

└──────────────┴─────┴─────┴────┴─────┘


[표2] 2017년 대미국 수입 상위 10대 품목(단위:100만 달러, 전년 동기 대비 %)



┌───┬──────────┬─────┬────────────────┐

│ 순위 │품목│2016년 1~9│ 2017년 1~9월 │

│ ││월│ │

│ │├─────┼─────┬────┬─────┤

│ ││ 수입금액 │ 수입금액 │ 증가율 │수입 증감 │

│ ││ │ ││액│

├───┼──────────┼─────┼─────┼────┼─────┤

│1 │반도체 제조용 장비 │ 1,890│ 4,655│ 146.3│ 2,765│

├───┼──────────┼─────┼─────┼────┼─────┤

│2 │반도체 │ 2,770│ 2,935│ 6.0│ 165│

├───┼──────────┼─────┼─────┼────┼─────┤

│3 │항공기및부품│ 2,990│ 2,444│ -18.3│ -546│

├───┼──────────┼─────┼─────┼────┼─────┤

│4 │LPG │ 832│ 1,500│80.3│ 668│

├───┼──────────┼─────┼─────┼────┼─────┤

│5 │식물성물질 │ 871│ 1,347│54.6│ 476│

├───┼──────────┼─────┼─────┼────┼─────┤

│6 │육류│ 1,089│ 1,337│22.8│ 248│

├───┼──────────┼─────┼─────┼────┼─────┤

│7 │자동차 │ 1,248│ 1,305│ 4.6│57│

├───┼──────────┼─────┼─────┼────┼─────┤

│8 │계측제어분석기 │ 991│ 1,263│27.4│ 272│

├───┼──────────┼─────┼─────┼────┼─────┤

│9 │곡실류 │ 1,084│ 1,260│16.2│ 176│

├───┼──────────┼─────┼─────┼────┼─────┤

│10│농약 및 의약품 │ 949│ 848│ -10.6│ -101│

├───┴──────────┼─────┼─────┼────┼─────┤

│소계(10대 품목) │14,714│18,894│28.4│ 4,180│

├──────────────┼─────┼─────┼────┼─────┤

│총수입 │31,718│38,723│22.1│ 7,005│

└──────────────┴─────┴─────┴────┴─────┘







coo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