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평공원 반대·비정규직 문제 등 집회·농성 잇따라
대전시 일방통행에 따른 갈등관리 부재 지적도
(대전=연합뉴스) 한종구 기자 = 대전시청 주변이 최근 각종 단체의 집회와 농성이 계속되면서 거대한 농성장으로 변하고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28/AKR20171128113000063_04_i.jpg)
사회 문제에 대한 시민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는 공론장이 되고 있다는 긍정적인 평가와 함께 대화와 타협이 아닌 집단 투쟁의 장으로 변질되는 게 아니냐는 부정적인 평가가 공존한다.
유성구 구즉동 주민들로 구성된 '구즉동 혐오시설 반대 비상대책위'는 28일 시청 북문 앞에서 금고동 위생 매립장 내 폐기물 소각시설 운영 반대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열었다.
위생 매립장에 설치한 음식물 소각시설이 가동을 앞두고 있어 주민 건강을 위협하는가 하면 대전시가 최근 동물보호소(유기견보호센터)와 하수종말처리장의 구즉동 이전 계획을 세우는 등 혐오시설이 잇따라 마을 인근에 들어선다는 게 주민들의 주장이다.
이들은 "1996년 위생 매립장이 조성된 이후 정주 여건이 악화되고 인근 공단에서 나오는 공해 및 악취로 지속적인 고통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라며 "살기 좋고 행복했던 지역이 혐오시설 집합소라는 오명을 쓰게 돼 투쟁에 돌입했다"고 밝혔다.
주민들은 소각장 운영 반대와 동물보호소 및 하수종말처리장 구즉동 이전 반대를 촉구하며 조만간 시청 앞에서 천막 농성에 돌입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시청 주변에는 4개의 단체가 천막을 치고 농성을 벌이고 있다.
월평공원 대규모 아파트 건설 저지 주민대책위, 비정규직 노동자들로 구성된 공공연대 노조, 대전중앙청과와 상인 등 3개 단체가 북문 앞에서 천막 농성을 벌이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28/AKR20171128113000063_02_i.jpg)
월평공원 주민대책위는 시가 추진하는 월평공원 민간 특례사업에 대해 환경이 파괴될 수 있다며 사업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고, 공공연대 노조는 공공기관 비정규직 근로자에 대한 정규직 전환을 위한 노사협의기구 구성을 주장하고 있다.
대전중앙청과는 노은농수산물시장 내 축산물 상가 신축 등을 요구하고 있다.
또 시청 남문광장에는 한국노총 대전택시본부가 시의 택시 행정을 비판하며 농성 중이다.
시청 인근을 지나며 집회와 농성을 지켜보는 시민의 시선은 극명하게 갈린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1/28/AKR20171128113000063_03_i.jpg)
자신들의 요구 사항을 당당하게 주장하는 모습이라는 시선이 있지만, 대화와 협상이 아닌 속칭 '떼쓰기'라는 주장도 있다.
대학생 김모(25)씨는 "집회는 시민의 요구를 알리는 하나의 수단인 만큼 긍정적으로 봐야 한다"고 했고, 시민 최모(54·여)씨는 "시청 주변이 천막 농성과 집회로 얼룩지는 것 같아 보기 불편하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시청 인근에서 집회와 농성이 계속되는 것에 대해 대전시의 갈등관리 부재를 보여주는 단적인 예라는 지적도 적지 않다.
1999년 12월 중구 대흥동에서 서구 둔산동으로 이전한 이래 최근처럼 각종 단체의 집회와 농성이 계속된 적이 없다는 주장이다.
문창기 대전참여자치시민연대 사무처장은 "대전시에는 갈등을 조정할 수 있는 기구가 있고 이를 제도화한 조례도 있다"며 "갈등을 최소화하고자 한다면 행정적으로 갈등관리 기구를 가동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해 당사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을 위해 공론장으로 나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jkh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