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내달 4∼9일 열려…1∼3일에는 NGO 워크숍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11/30/PYH2016113024520005600_P2.jpg)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세계의 무형유산 전문가들이 지난 2003년 채택된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의 이행을 촉구하고 보존 가치가 있는 유산을 선정하기 위해 제주도에 모인다.
문화재청은 유네스코, 제주특별자치도와 함께 제12차 유네스코 무형유산보호협약 정부 간 위원회(무형유산위원회)를 12월 4일부터 9일까지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아시아에서 무형유산위원회 회의가 열리는 것은 2007년 중국 청두(成都)와 일본 도쿄, 2011년 인도네시아 발리에 이어 네 번째다.
이번 회의에는 175개 협약국 대표단과 유네스코 사무국, 비정부기구(NGO) 관계자 등 1천여 명이 참석한다.
참가자들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알려진 대표목록, 위기에 처한 유산을 모은 긴급보호목록, 무형유산 보호 경험을 정리한 모범사례의 등재 여부를 결정한다. 또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절차 변경안과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기금의 운용 계획, 협약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한다.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후보는 독일의 오르간 제조기술, 이탈리아의 나폴리 피자, 스위스의 바젤 카니발, 아일랜드의 일리언 파이프 등이다.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 강릉 단오제 등 인류무형문화유산 19건을 보유한 우리나라는 다등재 국가로 분류돼 2년에 1건만 등재를 신청할 수 있다. 지난해 제주해녀문화를 등재해 이번에는 심사 대상이 없고, 내년에 '씨름'이 심사를 받는다.
회의는 유네스코 무형유산 누리집(http://ich.unesco.org)을 통해 생중계된다.
한편 한국문화재재단은 무형유산위원회에 앞서 유네스코 인가 무형유산 NGO들의 플랫폼인 ICH NGO 포럼과 함께 12월 1∼3일 같은 장소에서 '유네스코 인가 NGO 역량강화 워크숍'을 개최한다.
무형유산위원회와 연계한 유네스코 인가 NGO 프로그램은 종전까지 하루 동안 진행됐으나, 이번에 3일로 확대됐다.
박상미 한국외대 교수를 포함한 국내외 강사들이 30개국 NGO 관계자 100여 명을 대상으로 무형유산보호협약 이행을 위한 NGO의 활동 방향을 설명하고 활동 사례를 공유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무형유산위원회 개최를 계기로 무형유산 분야에서 우리나라의 위상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한다"며 "무형유산 보호를 위해 법과 제도를 정비하고 지원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psh5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