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산연, 2018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
(서울=연합뉴스) 김연정 기자 = 내년 전국의 주택 매매가격은 지방의 하락 국면 전환이 본격화되지만 서울의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강보합(0.2%)을 유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전세가격은 입주물량 증가 영향으로 지방의 국지적인 '역전세' 가능성이 있으나, 전국적으로 보합세(0.0%)를 형성하는 안정된 시장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됐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30일 발표한 '2018년 주택시장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올해 전국의 주택 매매가가 1.4%, 전세가가 0.7% 오른 것과 비교하면 내년에는 가격 상승폭이 올해보다 줄어들 것으로 분석됐다.
주산연은 올해 2.1% 상승한 수도권의 집값은 내년에는 0.8% 상승하고, 올해 1.5% 오른 수도권의 전셋값은 내년에는 0.6%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지방의 집값 상승률은 올해 0.8%에서 내년 -0.5%로, 전셋값은 올해 0.0%에서 내년 -0.5%로 모두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산연은 "서울, 경기, 지방광역시, 기타지방으로 주택시장이 세분화되고 양극화 확대가 가속화될 것"이라며 "충청권과 경상권 중심의 지방시장 하방리스크 확대로 주택 가격 하락이 본격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표] 2018년 주택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전망 (단위: 전년말 대비, %)
┌───────┬────┬────┬───────┬───────┬───┐
│구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 ││├───┬───┼───┬───┤e)│
│ │││1∼10 │연간 │1∼10 │연간e)│ │
│ │││월│ │월│ │ │
├──┬────┼────┼────┼───┼───┼───┼───┼───┤
│매매│전국│1.7 │3.5 │0.5 │0.7 │1.2 │1.4 │ 0.2│
│├────┼────┼────┼───┼───┼───┼───┼───┤
││수도권 │1.5 │4.4 │1.0 │1.3 │1.8 │2.1 │ 0.8│
│├────┼────┼────┼───┼───┼───┼───┼───┤
││지방│1.9 │2.7 │0.0 │0.2 │0.7 │0.8 │ -0.5│
├──┼────┼────┼────┼───┼───┼───┼───┼───┤
│전세│전국│3.4 │4.9 │1.1 │1.3 │0.6 │0.7 │ 0.0│
│├────┼────┼────┼───┼───┼───┼───┼───┤
││수도권 │4.8 │7.1 │1.7 │2.0 │1.3 │1.5 │ 0.6│
│├────┼────┼────┼───┼───┼───┼───┼───┤
││지방│2.1 │2.8 │0.5 │0.7 │0.0 │0.0 │ -0.5│
├──┴────┴────┴────┴───┴───┴───┴───┴───┤
│주: 주택가격은 한국감정원의 주택가격지수를 활용했으며, e)는 연구원의 추정 │
│치임 │
└─────────────────────────────────────┘
주산연은 내년도 주택 공급이 10% 내외로 감소하면서 인허가 52.9만호, 착공 43.9만호, 분양 32.1만호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했다.
준공물량은 2016년에 급증한 인허가의 영향으로 올해보다 10% 정도 증가한 63.3만호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산연은 "준공물량의 꾸준한 증가로 전세가격 상승압력이 크게 둔화돼 임차 시장의 가격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다만 재고주택 대비 준공물량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상도, 충청도 등의 지역은 여전히 가격 하방 리스크가 있을 뿐 아니라 집주인이 세입자를 찾지 못하는 '역전세'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주산연은 "역전세 리스크 확대 우려 지역은 임차인의 보증금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 마련과, 집주인의 보증금반환을 위한 금융지원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내년 주택매매 거래는 전국적으로 올해(93만건 예상) 대비 8% 정도 감소한 85만건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한, 수도권보다는 주택시장 후퇴 국면에 들어선 지방의 거래감소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주산연은 내년 주택시장의 5대 영향 변수로 ▲ 금리 ▲ 대출규제 ▲ 가계부채 ▲ 공급량 ▲ 입주량을 꼽았다. 또한, 공급요인보다 금융요인의 영향력이 더 클 것으로 바라봤다.
특히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이 가시화되면서 하반기로 갈수록 금리 영향 확대가 예상되며, 무엇보다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가 시작되는 내년 4월 이후 2분기가 주택시장의 최대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주산연 김덕례 주택정책실장은 "내년은 정책규제의 본격적인 도입과 정부의 다양한 정책로드맵 추진이 함께 있는 해로 기대와 우려가 공존하는 한 해"라며 "규제에 따른 위축과 기대로 인한 확장이 과하지 않도록 하는 균형적·합리적인 시장관리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표] 2018년 주택공급 전망 (단위: 만호)
┌──────┬────┬────┬────────┬───────┬───┐
│구분│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e)│
││││1∼9월 │연간 │1∼9월│연간e)│ │
├──────┼────┼────┼────┼───┼───┼───┼───┤
│인허가 │51.5│76.5│52.0│72.6 │45.5 │58.7 │52.9 │
├──────┼────┼────┼────┼───┼───┼───┼───┤
│착공│50.8│71.7│45.0│65.8 │35.9 │51.5 │43.9 │
├──────┼────┼────┼────┼───┼───┼───┼───┤
│분양│34.5│52.6│32.1│46.9 │21.8 │35.8 │32.1 │
├──────┼────┼────┼────┼───┼───┼───┼───┤
│준공│43.1│46.0│36.6│51.5 │41.2 │57.4 │63.3 │
└──────┴────┴────┴────┴───┴───┴───┴───┘
※ 공급량은 국토부 자료, e)는 연구원의 추정치.
yjkim84@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