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대한민국 연구안전 2.0' 계획 발표
2022년 안전정보 시스템·2020년 연구실안전관리사 자격시험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기자 = 지금껏 정부가 주도해왔던 연구실 안전관리가 앞으로는 민간 주도로 바뀐다.
이를 위해 정부는 연구실 안전관리 인력인 '연구실안전관리사'를 2020년부터 선발하고, 연구자들에게 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2022년까지 개발할 예정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런 내용의 '대한민국 연구안전 2.0'(2018∼2022년·제3차 연구실 안전 환경 조성 기본계획)을 마련하고, 제3차 연구실안전심의위원회에서 확정했다고 4일 밝혔다.
과기정통부는 2013년부터 올해까지 제2차 종합계획을 추진해오며, 정부가 주도하는 연구실 안전관리에 한계가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작년 기준 전체 연구기관은 4천661개에 달하고, 여기 속한 연구실이 6만9천119개인데 정부가 직접 안전관리 감독을 하기엔 인력과 예산에서 제약이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에 따라 내년부터 2022년까지 추진할 정책인 연구안전 2.0에는 연구 현장에서 자율적으로 안전관리를 맡도록 하고 이를 위해 민간의 전문성을 높인다는 내용을 담았다.
<YNAPHOTO path='AKR20171204078400017_01_i.jpg' id='AKR20171204078400017_0201' title='' caption='[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우선 연구자들이 연구실 내 '위해 인자'를 쉽게 알도록 인공지능(AI) 기술을 적용한 '안전정보 제공 시스템'을 2022년까지 개발키로 했다. 이 시스템 개발을 위해 2020년까지 연구자 안전 확보에 필요한 정보를 선별, 가공해 데이터베이스(DB)를 만들기로 했다.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연구실 안전 사고예방 및 재발 방지 대책을 수립하는 한편 '우수연구실 인증'을 받은 연구실을 '안전정보 전파 거점'으로 활용키로 했다.
연구기관에서 연구안전 분야를 전담할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방안도 이번 계획에 포함됐다.
국가전문자격으로 '연구실안전관리사'를 신설하고, 2020년부터 자격시험을 시행키로 했다. 연구기관 내 안전관리를 맡는 전담조직의 구축을 지원하기 위해, 대학을 대상으로 시범사험을 운영한다.
연구안전 장비·보호구에 대한 안전기준 및 인증절차도 2020년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규모가 작고 위험 요소가 적은 연구실의 경우 정부가 진행하던 안전관리 컨설팅을 2019년부터 민간 전문기업에 맡기기로 했으며, 연구실 안전관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는 전문기관 설립도 검토키로 했다.
아울러 연구기관과 안전점검 대행기관의 경우 연구자와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각각 안전교육 과정을 실시해야 한다는 내용도 이번 계획에 담겼다.
이진규 1차관은 "대한민국 연구안전 2.0을 통해, 연구자들이 안전한 연구환경에서 마음 놓고 연구개발에 몰두할 수 있게 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s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