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정연 주최 '미혼모 호칭:정체성 확인과 차별적 효과 사이' 세미나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2/05/AKR20171205063200005_01_i.jpg)
(서울=연합뉴스) 김희선 기자 = '미혼모'(未婚母)라는 용어가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부추겨 새로운 단어로 변경할 필요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성정현 협성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오는 6일 은평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여정연)에서 열리는 '미혼모 호칭:정체성 확인과 차별적 효과 사이' 세미나에서 '미혼모' 호칭의 문제점을 제기할 예정이다.
성 교수는 5일 미리 배포한 발제문에서 "미혼모들이 심각한 심리사회적·경제적 어려움에 처해 있으며 특히 사회적 인식과 차별로 인한 배제로 힘겨워하고 있다"면서 미혼모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차별, 낙인이 발생하는 원인 중 한 가지로 '미혼모'라는 용어를 지적했다.
미혼모는 '아직 혼인하지 않은 상태에서 자녀를 낳은 여성'이라는 의미를 담고 있어 혼인이라는 과제를 해결하지 못한 미완 혹은 불충분의 존재로 정의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는 것이 성 교수의 주장이다.
성 교수는 미혼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들을 제시하면서 "혼인을 하는 것과 자녀를 낳는 것은 더 이상 관습과 제도가 아닌 당사자의 주체적 선택과 결정에 의한 것이 되고 있다"며 "미혼모와 미혼모가 아닌 모(母)를 구별 짓는 인식과 행태는 차별적 구별 짓기에 해당하므로 '미혼모'는 재명명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미혼모 용어 변경에 대한 논의는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1년 서울시한부모가족지원센터가 미혼모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함양하자는 취지로 '새 이름 짓기 공모전'을 실시한 바 있다.
성 교수는 "일각에서는 '미혼모' 대신 '비혼모'를 사용하기도 하고, 자발적으로 혼인하지 않은 '언웨드(Unwed)'나 '비혼'으로 대체하지는 의견도 있다"고 소개하면서 '미혼모' 용어를 대체할 신조어의 개발과 활용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성 교수에 이어 김은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가족·다문화연구센터장이 '한부모가족 지원정책과 '미혼모' 호명의 역사'를 주제로 미혼모지원정책의 현황을 살펴본다.
권인숙 여성정책연구원장은 "미혼모라는 호칭이 쓰기 부담스러워 정책을 추진하지 않는다는 정책담당자의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며 이번 포럼은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효과적 정책지원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권 원장은 "미혼모라는 호칭에 차별과 인권침해가 깃들어 있다는 주장이 있는 한편 미혼모의 정치세력화에 유용하다는 반론도 있었으나 심도 있는 공론의 장이 부족했다"며 "이번 포럼이 미혼모 호칭에 대한 활발한 토론과 합의로 이어져 미혼모 대응 정책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hisun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