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2/05/AKR20171205142200052_01_i.jpg)
(창원=연합뉴스) 황봉규 기자 = 경남도가 창원∼김해 비음산터널과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등 창원시와 김해시의 대형사업 지원에 나선다.
경남도는 5일 도청에서 비음산 터널(창원∼김해 진례 간 연결도로)과 마산 해양신도시 건설사업 추진상황보고회를 열었다.
한경호 지사 권한대행 주재로 열린 보고회에는 유원석 창원시 제2부시장, 신대호 김해시 부시장 등 도와 창원시, 김해시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보고회에서는 창원터널 교통난을 해소하려고 2006년 대우건설이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했으나 10년 이상 지지부진한 비음산터널 사업부터 거론됐다.
신대호 부시장은 "창원터널 정체로 창원과 김해시를 출퇴근하는 시민이 극심한 고통을 겪고 있다"며 "지금 시작해도 완공까지는 5년 이상이 걸릴 것으로 예상하므로 도가 중심이 돼 조속히 터널사업을 추진해달라"고 건의했다.
유원석 부시장은 "비음산 터널은 창원 쪽 진출입로 인근의 차량정체와 미세먼지 등 환경문제, 인구유출 우려 등으로 시민과 지역 정치권의 반대가 매우 심하다"며 "창원시정연구원이 용역 중인 비음산터널 개통의 장단점과 극복방안, 진출입로 위치 등의 용역 결과가 나온 이후에 협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한 권한대행은 "하루 9만여 대가 창원터널을 통과하면서 정체로 인한 불편이 크고 안전에도 문제가 있다"며 "중부 경남 발전을 위해서도 터널 개설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창원시민 의견이 중요하고 김해시와 나아가 인근 밀양시 등의 의견도 고려돼야 한다"며 "용역과정에서부터 폭넓은 도민 의견이 반영되었으면 한다"고 당부했다.
경남도는 창원시와 김해시 간 비음산터널 추진 공감대가 형성되면 터널 개설에 가장 큰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이는 건설보조금과 비음산터널 개설로 교통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 불모산터널 손실보전 등에 대한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2/05/AKR20171205142200052_02_i.jpg)
이어 마산만에 조성된 인공섬인 마산 해양신도시 사업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눴다.
이 사업은 마산 가포신항 개발로 생긴 해상 준설토 투기장 64만2천㎡를 신도시로 개발하는 사업이다.
준설토 투기장 조성비용 3천400억원 중 일부에 대해 정부 지원을 건의하고 있으나 어려움을 겪고 있다.
유원석 부시장 등 창원시 측은 "신도시 개발 민간사업자는 아파트 건설 등을 추진해 수익을 중시하고 있고, 창원시는 친수공원 등 시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조성하려다 보니 민간사업자 공모에 어려움이 있다"며 "내년 초 재공모 절차에 들어가 상반기 중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하려고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도지사 권한인 개발계획 변경에 따른 도시기본계획 변경 지원과 해양신도시 내 친수공원 및 신도시 진입 교량 2곳 건설비 420억원을 지원해 달라"고 건의했다.
한 권한대행은 "창원시에서 협상대상자를 선정해 개발계획이 마련되면 도시기본계획 변경과 기반시설 지원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며 "친수공원이나 진입교량 문제는 해양수산부 등 정부 지원이 필요하므로 도와 창원시가 함께 노력하자"고 답했다.
이어 "해양신도시는 로봇랜드, 구산해양관광단지와 연계해 동북아 관광중심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잘 준비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한 권한대행은 지난달 30일 열린 경남도의회 본회의에서도 창원시와 김해시 지역구 도의원들이 해양신도시 건설사업과 비음산터널 추진에 대한 도정질문에 "경남도가 이 사업과 관련해 적극적인 역할을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b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