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車업계, 車 공유사업 속속 진출…제달 잡아먹기?

입력 2017-12-11 15:11  

日 車업계, 車 공유사업 속속 진출…제달 잡아먹기?

(서울=연합뉴스) 이해영 기자 = 일본 자동차 메이커들이 잇따라 카 셰어링(자동차 공유) 사업에 진출하고 있다.
닛산(日産)자동차는 내년 1월부터 회원들이 자동차를 공유하는 사업을 시작한다고 발표했다. 일본 자동차 메이커의 차 공유사업 진출은 도요타와 혼다에 이어 닛산이 3번째다.
성장이 기대되는 시장인 만큼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도 있지만 자동차 메이커 스스로가 '자동차 소유 기피'를 조장하는 딜레마에 빠질 가능성도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닛산자동차는 'e-셰어 모비'라는 이름으로 8일부터 웹사이트에서 차 공유사업 회원등록을 받기 시작했다고 아사히(朝日)신문이 11일 전했다.
당분간 도쿄(東京)와 오사카(大阪) 등 전국 9개 광역자치단체 30개소에 자사 전기자동차 '리프'와 소형차 '노트' 하이브리드차 중 1대씩을 배치할 계획이다. IC카드 면허증을 열쇠로 이용해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으며 15분에 200 엔(약 2천 원)에서부터 빌릴 수 있다.
자동차 공유는 점포에서 별도의 절차를 밟지 않아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최대 공유업체인 '파크 24'의 "타임스카 플러스"는 10월 말 현재 전국 1만 곳에 2만 대를 배치해 놓고 있다. 5년 전에 비해 거점 수는 3배, 차량 대수는 4배, 회원 수는 6배로 각각 늘었다.
혼다는 2013년 11월 도쿄도(東京都)내에서 시험적으로 차 공유사업을 시작했다. 올해 11~12월에 요코하마(橫浜)와 오사카로 확대했으며 서비스 이름도 'EveryGo'로 바꿨다. 90여 곳에 140여 대를 배치해 놓고 있으며 회원이 1만1천여 명에 이른다.
도요타자동차는 개인 간 차 공유사업을 하는 미국 벤처기업에 출자하고 실증실험을 추진 중이다. '라이드 셰어(합승)' 분야에서도 미국 우버 테크놀로지에 출자했으며 싱가포르에 본사를 두고 있는 동남아시아의 그라브와도 협력하고 있다.
닛산이나 혼다 모두 공유 차종으로는 '추천'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고객들이 우선 널리 이용해 보도록 함으로써 판매로 연결하려는 전략이다. 반면 고객들이 차 공유에 익숙해지면 자동차를 소유하는 데 대한 관심이 떨어질 가능성도 있다.
'파크 24'가 8일 내놓은 설문조사결과에 따르면 렌터카나 카 셰어를 이용한 데이트에 전혀 "문제가 없다"고 응답한 비율이 20대의 경우 52%에 달해 장래 소비자인 젊은층일수록 소유에 구애받지 않는 경향이 두드러졌다.


lhy5018@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top
    • 마이핀
    • 와우캐시
    • 고객센터
    • 페이스 북
    • 유튜브
    • 카카오페이지

    마이핀

    와우캐시

    와우넷에서 실제 현금과
    동일하게 사용되는 사이버머니
    캐시충전
    서비스 상품
    월정액 서비스
    GOLD 한국경제 TV 실시간 방송
    GOLD PLUS 골드서비스 + VOD 주식강좌
    파트너 방송 파트너방송 + 녹화방송 + 회원전용게시판
    +SMS증권정보 + 골드플러스 서비스

    고객센터

    강연회·행사 더보기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이벤트

    7일간 등록된 일정이 없습니다.

    공지사항 더보기

    open
    핀(구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