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11/24/PYH2017112407430001300_P2.jpg)
갤럭시노트8·아이폰X 등 탑재 따른 수요 증가 영향
(서울=연합뉴스) 정성호 기자 = 3분기 전세계 스마트폰용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이 전년보다 30%가량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마트폰 OLED는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8과 애플의 아이폰X 등 플래그십 스마트폰에 채택된 디스플레이 소재다. 두께가 얇은데다 유연한 성질도 있어 좀 더 자유로운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14일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OLED 시장은 47억5천361만 달러(약 5조1천920억원) 규모로 집계됐다.
이는 작년 3분기의 36억7천490억 달러와 견주면 1년 새 29.4% 성장한 것이다.
삼성전자가 일찌감치 스마트폰에 OLED 패널을 도입한 데 이어 애플까지 최상위 모델에 OLED를 도입하면서 스마트폰용 OLED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또 중국의 화웨이, 오포, 비보 등도 하반기 전략 스마트폰에 OLED를 탑재할 것으로 알려져 추가적인 수요 확대가 예상되고 있다.
스마트폰용 OLED 시장에서 삼성디스플레이의 압도적인 지배력은 계속 유지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97.8%(46억5천66만 달러)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사실상 시장을 독점했다.
<YNAPHOTO path='PYH2017112407430001300_P2.jpg' id='PYH20171124074300013' title=' ' caption='아이폰X [연합뉴스 자료사진]' />
3분기 전체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 규모는 140억588만 달러로 전년 동기보다 20.4% 성장했다.
중소형 디스플레이는 9인치 이하 패널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웨어러블, 디지털카메라, 게임기 등에 쓰인다.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성장을 이끈 제품은 스마트폰으로 77.3%(108억3천668만 달러)를 차지했다.
지난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시장은 333억8천6만 달러였는데 올해는 3분기까지 301억3천136만 달러에 달해 연간으로는 처음 400억 달러를 넘길 전망이다.
중소형 디스플레이 시장의 업체별 점유율을 보면 삼성디스플레이가 34.1%(47억8천226만 달러)로 1위 자리를 지켰다.
이어 재팬디스플레이가 13.6%(19억480만 달러), LG디스플레이가 11.7%(16억3천717만 달러), 샤프가 8.2%(11억5천344만 달러), 티안마가 6.9%(9억6천405만 달러)로 2∼5위를 차지했다.
sisyph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