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연합뉴스) 김재홍 기자 = 2010년부터 2년간 97억 원을 투입해 오염퇴적물 정화작업을 벌인 부산 남구 용호만에 추가 예산 4억 원이 투입될 것으로 보인다.
17일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최근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용호만 오염퇴적물 정화사업 관련 설계용역비 4억 원이 확정돼 국비 2억8천만 원이 배정됐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0/01/25/PYH2010012505040005100_P2.jpg)
수시배정사업으로 추진되는 이 사업에는 관할 지자체인 부산시가 1억2천만 원을 부담해야 한다.
이번 예산은 당초 해양수산부의 계획에 없던 것으로 국회 예결위 과정에서 반영된 이른바 '쪽지예산'으로 알려졌다.
설계용역은 용호만에 저질개선제 등을 뿌려 악취를 없애는 데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육상오염원을 제대로 차단하지 않은 데다 수질 모니터링을 하지 않은 상황이어서 또 예산이 낭비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용호만으로 이어지는 남구 대연동과 용호동의 생활오수와 빗물을 분리하는 하수관거 정비사업은 내년 1월 하순에 준공된다.
이는 현재도 육상오염원이 용호만으로 유입되고 있고 수질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해수부 관계자는 "하수관거 정비사업 준공 이후 1년 정도가 지난 뒤에 추가적인 정화사업을 검토할 계획이었다"며 "국회 예결위에서 관련 예산이 갑자기 추가돼 당혹스럽다"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2010년부터 2012년까지 모두 97억 원을 들여 9만9천500여㎡의 바닥에 쌓인 오염된 토사 6만4천320여㎥를 준설해 제거했다.
그런데 정화사업 이후 해양환경관리공단이 5년 동안 수질 등 해양환경의 변화를 모니터링 한 결과 수질은 개선되지 않았다.
오염된 퇴적물을 파내고 나면 수질이 좋아져야 하지만 결과는 그렇지 못한 것이다. 준설은 수질 개선을 위한 최후의 수단이다.
정화사업이 완료된 2012년 용호만 상류 지역의 수질 등급은 '아주 나쁨'(5등급)으로 나왔다.
2013∼2015년에 진행한 2∼4차연도 모니터링에서도 이 지역의 수질은 여전히 가장 나쁜 5등급에 머물렀다.
중류도 2016년까지 진행한 모니터링 결과 2014년(3등급)을 제외하곤 모두 5등급에 그쳤다.
하류 지역의 수질은 1차연도 5등급, 2차연도 4등급, 3∼4차연도 3등급으로 조금 나아졌다.
용호천이 도로 및 하수 암거를 거쳐 유입되는 해역도 사정은 비슷했다. 상류의 수질은 3차연도(4등급)만 빼고 모두 5등급이었다.
올해 추가로 실시한 수질 모니터링 결과는 새해 전에 나올 예정이다.
해수부는 오는 18일 오전 부산해양수산청에서 관련 회의를 열고 유관기관과 향후 계획 등을 논의한다.
해수부 관계자는 "당장 악취가 없어질 수는 있으나 신중한 결정이 필요하다"며 "사업효과 제고를 위한 육상오염원 차단 대책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pitbull@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