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전통주' 이미지 구축 실패…ℓ당 수출 단가 1달러도 안 돼
농수산식품유통공사 "고품질화·수출국 다변화 필요"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한국의 대표 전통주로 꼽히는 막걸리가 해외에서 안정적인 소비 시장 구축에 실패하면서 수출이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18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최근 발간한 '2017 농식품 수출 이슈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막걸리 수출액은 1천286만8천 달러였다.
2011년 5천273만5천 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5년 만에 75.6% 급감했다.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막걸리 수출액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6% 감소한 1천110만 달러였다. 이에 따라 올해는 연간 수출액이 더 감소할 전망이다.
수출액만 놓고 보더라도 소주(8천410만 달러), 맥주(1억370만 달러)와 비교하면 턱없이 작은 규모다.
그나마 최근 한류열풍이 불고 있는 베트남, 대만 등에서 수출액이 두 자릿수 성장세를 보이지만, 절대 수출량이 많지 않다.
같은 기간 일본의 사케(2016년 수출액 1억4천361만 달러)와 일명 '빼갈'이라 알려진 중국의 바이주(白酒·4억6천789만 달러)의 수출액이 각각 30.2%, 172.7% 급증한 것과 대조적이다.
사케는 해마다 등락은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지속적인 수출 호조세를 보이고 있다. 바이주 지난해 수출액이 최고치를 기록하는 등 수출이 급격히 증가했다.
이에 비해 막걸리는 2010∼2011년 한류 열풍과 엔고(円高) 효과로 생산량과 수출량 모두 반짝 늘었지만, 해외에서 품질을 인정받지 못하고 '한국의 전통주'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지 못하는 등 안정적인 소비시장을 구축하는 데 실패했다.
'고급술'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한 사케나 바이주와 달리 막걸리가 저가 위주의 수출 전략을 펼친 것이 '패착'이었다는 분석이다.
저렴한 가격으로 수출되고 있는 막걸리 특성상 고급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연상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실제로 막걸리의 지난해 평균 수출단가는 ℓ당 0.99달러로, 1달러가 채 안 됐다. 반면 사케와 바이주는 각각 ℓ당 7.28달러, 28.65달러로 상당히 높게 형성돼 있는 편이다.
막걸리가 워낙 싸다 보니 대부분 투명, 초록색의 반투명 페트병 용기 등 유사한 디자인으로 출시돼 젊은 층 공략을 위한 디자인 차별화에도 실패했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지속적이고 일관된 마케팅 부재도 수출 감소를 부추긴 요인으로 꼽혔다.
aT는 보고서에서 막걸리 수출 확대를 위해서는 저렴한 술에서 고가·고품질 술로 소비자 인식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의 전과 함께 먹으면 맛있는 막걸리보다는 현지 음식이나 술 취향 등 음식문화에 부합하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일본, 중국, 미국 등으로 편중된 수출 대상국을 다변화하고 전 세계 주류 시장에서 나타나는 저도수·무알콜 트렌드를 반영한 막걸리 신제품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