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승회 고대 연구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논문 게재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구승회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당 생성과 비만에 동시에 관여하는 간 속 단백질 조절 과정을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방간은 혈당을 조절하는 인슐린이 정상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도록 한다.
이를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한다.
간에서는 포도당 생성 억제를, 지방이나 근육세포에서 포도당 흡수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Crtc2 단백질'이 간에서 당 생성을 증가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가속한다는 것을 밝힌 바 있다.
이번에는 Crtc2가 지방간과 전신비만을 촉진한다는 것을 추가로 규명했다.
아울러 간에서만 Crtc2가 제거된 생쥐모델을 제작해 Crtc2 특유의 기능과 효과를 검증했다.
연구팀은 Crtc2가 제거될 경우 간세포 외에도 지방세포 크기와 지방축적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했다.
에너지 소모는 온몸에서 증가했다.
Crtc2가 제거되면 마이크로 RNA-34a(miR-34a)가 발현되지 않으면서 PPAR 알파와 Sirt1 발현이 늘어난다.
그 결과 PPAR알파와 Sirt1에 의한 지방 산화가 증가해 지방간이 억제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다시 말해 Crtc2 제거를 통해 지방간 억제 효과를 볼 수 있다는 뜻이다.
Crtc2가 제거된 간에서는 또 'Fgf21 호르몬' 발현이 늘면서 백색지방의 갈색화와 에너지 소비 증가에 따른 항비만 효과가 나타났다.
백색지방의 갈색화는 지방 보관소 역할을 하는 백색지방이 추위 등 외부 자극으로 갈색을 띠는 현상이다. 지방산 소비나 항비만 효과를 불러온다.
구승회 교수는 "간에서 당 생성 증가와 인슐린 저항성에 기여하는 Crtc2가 miR-34a를 통해 지방간·비만도 촉진한다는 사실을 최초로 밝힌 것"이라며 "Crtc2나 miR-34a의 간 선택적인 억제를 통해 고혈당과 비만을 동시에 제어하는 대사질환 치료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지원사업(개인연구)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지난달 30일 자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