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지진 대응 한일 공동세미나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국내에서 최대 7.3 규모의 지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정부와 기업이 일본 사례를 참고해 선제적으로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내 지진학 1호 박사인 이기화 서울대 명예교수는 19일 서울 여의도 전국경제인연합회 콘퍼런스센터에서 열린 '일본의 지진 대응 노하우와 시사점' 한일 공동세미나에서 "포항·경주 지진이 발생한 양산단층대의 어느 지점에서라도 광범위한 지진이 추가로 발생할 수 있고, 최대 규모는 7.3까지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이 교수는 "한반도에서의 지진은 불규칙한 패턴으로 인해 정확한 예측이 불가능하다"면서도 "2014년 이후 지진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지진 패턴도 올해 포항 사례와 같이 대규모 피해를 양산할 수 있는 단층면의 상하이동을 포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이번 포항지진은 진원의 깊이가 3∼7㎞로 얕고 전후상하 이동이 함께 나타나 피해가 컸다.
또 국내에서 지진 발생 가능성이 가장 큰 양산단층대 주변에는 대도시가 많아 지진에 따른 대규모 피해가 우려된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11/16/01/C0A8CA3C0000015FC270370400094EB6_P2.jpeg)
이날 행사를 주최한 전경련의 권태신 상근부회장은 "우리나라는 지진 안전지대가 아님에도 지진에 대비한 준비가 매우 미흡하다"며 "정부가 일본의 기술과 노하우를 참고해 전 국가적 차원의 지진대응 종합플랜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권 부회장은 이어 "기업은 생산시설의 지진 대응설계를 강화하는 한편 지진 발생 시에도 정상적인 기업 활동이 가능하도록 사전 준비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전경련과 일본 게이단렌(經團連) 21세기 정책연구소의 공동주최로 열린 이번 세미나에서는 지진과 관련한 일본의 최신 건축기술과 기업의 대응 노하우가 소개됐다.
일본 대표 건축물의 지진대비 설계를 수행한 호소자와 오사무 다이세이건설 설계본부 부본부장은 "일본 건축물은 내진 설계가 기본 적용돼있고 나아가 거대 지진에 대응하기 위한 제진·면진 설계가 적용되는 건축물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에서 제진설계는 초고층빌딩 등 중요 건물에 적용되며 재난방지 거점 건물이나 병원 등 매우 중요한 시설에는 면진설계가 적용된다.
오사부 부본부장은 "특정 규모 이상의 병원, 유치원, 대피소 등에 대한 내진 진단을 의무화하고 정부가 관련 비용 일부를 부담하는 등 국가 차원에서 지진 대비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전했다.
재난 대비 리스크 컨설팅 분야의 전문가인 미츠이스미토모 해상화재보험그룹 인터리스크종합연구소의 혼다 시게키 특별연구원은 "지진 발생 전에는 내진 진단, 발생 시에는 초동대응, 발생 후에는 BCP(재난 시 기업 연속성 유지계획)에 집중해야 한다"면서 기업의 지진대책을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챙겨야 한다고 조언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4/13/PYH2017041337810001300_P2.jpg)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