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청년연금·광역버스 준공영제 등 현안 놓고 2차 맞토론
(수원=연합뉴스) 최해민 기자 = 차기 경기도지사 선거 경쟁자로 꼽히는 남경필 지사와 이재명 성남시장이 22일 'jtbc 썰전'에 출연, 경기도 현안에 대해 맞토론을 벌였다.
둘은 지난 19일에도 한 라디오 프로그램에 동반 출연해 광역버스 준공영제 등을 놓고 충돌한 바 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7/12/22/AKR20171222003200061_01_i.jpg)
이날 25분간 진행된 토론은 대체로 화기애애한 분위기로 진행됐으나 간혹 날 선 공방도 이어졌다.
이 시장은 '광역 서울도'를 제안한 남 지사에게 "좋은 안이라고 생각한다"라고 전제한 뒤 "그런데 왜 지방선거를 앞둔 지금 하자는 것인가. 너무 정치적인 요소가 강해 보인다"라고 포문을 열었다.
남 지사는 "행정적 비효율을 줄이고, 수도권을 주거·생활·교통 등의 통합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만들자는 것이다"라며 "엄청난 정치·경제·사회적 비용을 들여 선거를 치르는데 선거에서 토론해보자는 것"이라고 답했다.
청년연금 논란에 대해서도 이 시장은 "청년통장, 복지포인트는 좋은 정책이나 청년연금으로 1억원 만들어주자는 것은 과하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정책은 지속성 있고, 대상자 상당수가 혜택을 얻어야 하고, 금액이 적절해야 한다. 청년연금은 청년 290만명 중 1만명을 뽑아 1억원을 주고, 내년에 한번 하고 말겠다는 건데, 당첨되는 사람은 좋겠지만, 로또 같은 사행성이다. 지나치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 지사는 "중소기업은 일할 사람이 없다고 하고, 청년들은 일자리가 없다고 한다. 이런 고민 끝에 나온 정책이다"라며 "청년들도 중소기업에 가서 열심히 일하면 우리가 1억원을 만들어 줄 수 있다는 것인데 그게 왜 사행성이라고 하는 것이냐. 만약 제가 (다음에도)당선되면 또 할 거다"라고 맞받아쳤다.
최근 둘의 SNS 격돌을 불러온 광역버스 준공영제에 대해서도 설전이 오갔다.
이 시장은 "버스회사 지원이 필요한 건 인정한다. 문제는 공적 책임을 담보할 장치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퍼주기식 정책이 될 수 있고, 노선 면허 하나로 영생 흑자기업이 탄생하게 된다"라고 비판했다.
남 지사는 "공적 책임을 담보할 장치는 이미 마련돼 있다. 부정이 일어나면 벌금 먹이고, 지원금은 환수하면 된다. 구더기 무서워 장 못 담그는 격이다"라고 반박했다.
이 시장도 "구더기가 생기지 않도록 장치를 마련하자는 것이다. 공적 장치를 마련한 뒤 해도 늦지 않는데 왜 선거를 앞두고 하자는 것이냐"라고 공세를 이어갔다.
이에 남 지사가 "시급한 정책이다. 버스 노동자들의 처우를 개선해 졸음운전을 없애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하자, 이 시장은 "버스 노동자 처우를 개선하려면 노동 시간을 제한해야 한다. 지원금은 회사가 아닌, 노동 시간 제한으로 임금이 준 노동자에게 직접 주는 게 더 비용이 적게 들고, 효율적일 것"이라고 답했다.
goal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