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 성장률 2년 연속 3%대 전망·中 사드 보복 완화도 호재
금리상승·최저임금 인상·복합쇼핑몰 규제 등은 변수
(서울=연합뉴스) 정열 강종훈 김은경 기자 = 2018년 유통업계는 3%대 경제성장률과 새 정부의 소득주도 성장 정책 영향이 본격화하면서 중국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보복 악재에 시달렸던 2017년보다 실적이 호전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금리상승과 최저임금 인상, 복합쇼핑몰 규제 등 소비여건 개선에 부정적인 요인들도 도사리고 있어 큰 폭의 회복세를 기대하기는 어렵다는 신중론도 제기된다.
31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3분기(7∼9월)까지 줄곧 마이너스 성장에 시달렸던 백화점 업계는 4분기 들어 찾아온 이른 한파와 롱패딩 열풍 등에 힘입어 3∼5%대 매출 신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
최대 성수기인 11∼12월에 높은 매출 신장률을 기록한 롯데, 현대, 신세계 등 이른바 '유통 빅3'는 다음 달 2일부터 시작되는 '신년 정기 세일'을 통해 이런 호조세를 이어간다는 복안이다.
백화점 업계 관계자는 "2017년은 중국의 사드 보복, 북핵 위기와 같은 악재가 이어지면서 유통업계가 된서리를 맞았다"며 "2018년은 한중관계가 개선되고 3%대 경제 성장이 안착할 경우 전년보다는 소비심리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지난 27일 발표한 '2018년 경제정책 방향'에서 내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증가율을 3.0%로 전망했다.
글로벌 경기 회복에 힘입어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한 수준의 성장세를 예상했지만, 고용 불확실성, 투자 기저효과 등으로 올해 성장률 전망치(3.2%)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정부가 내년 3.0% 성장을 달성하면 2010∼2011년 각각 6.5%, 3.7% 성장한 이후 7년 만에 처음으로 2년 연속 3%대 성장을 이어가게 된다.
한국경제는 2014년(3.3%)을 제외하고는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줄곧 2%대 성장에 머물렀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2012년부터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이 2%대로 하락하면서 소비 성향이 일본에 역전됐으나 2018년은 전년에 이어 2년 연속 3%대 GDP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기대되면서 소비 성향을 견인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소비 회복에 걸림돌이 될 수 있는 불안 요인도 있다.
가장 우려되는 것이 금리상승 추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올해 3차례나 금리를 올린 데 이어 한국은행도 지난달 기준금리를 6년 5개월 만에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한은 기준금리 인상의 영향으로 시중금리가 오르면 일선 가계의 대출금 상환부담이 커지면서 가처분 소득이 감소해 소비 심리 악화로 이어진다.
현재 국내 가계부채 규모는 1천400조원을 넘어선 상태다.
한은이 최근 발간한 BOK 경제연구 '가계부채 수준에 따른 통화정책의 파급효과'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부채가 많을수록 금리인상 시 소비가 크게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년부터 최저임금이 시간당 7천530원으로 16.4%나 대폭 인상되는 것도 변수다.
최저임금이 인상될 경우 근로자의 소득이 증가해 소비가 늘어날 수도 있지만 사업자들이 인건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인력을 감축하거나 제품 가격을 올리면 실업률이 높아지고 물가가 상승해 소비심리에 부정적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경쟁적으로 포퓰리즘(인기영합주의) 정책을 쏟아낼 경우 복합쇼핑몰 의무휴업제와 같은 유통규제 추세가 한층 강화되면서 소비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2018년에는 전년보다는 유통업 경기와 소비가 호전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지만 곳곳에 도사리고 있는 암초가 많아 섣불리 낙관하기는 어렵다"며 "정부 정책과 대외 여건이 뒷받침돼야 본격적인 소비 회복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passi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