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12/04/01/C0A8CAE2000001601F690A1F0000266E_P2.jpg)
"노후 대책인데 여성이 더 오래 살기 때문" 분석
(세종=연합뉴스) 이대희 기자 = 아파트를 3채 이상 소유한 사람 중에선 여성이 유독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아파트를 노후 대책으로 간주하는 경향과 여성의 수명이 남성보다 길다는 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고 분석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10/29/PYH2017102917210001300_P2.jpg)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작년 기준 주택 소유물 건수별 아파트 소유 현황을 성별로 구분해 보면 남성은 462만6천641명(55%), 여성은 377만9천162명(45%)이었다.
아파트를 소유한 남성이 여성보다 84만7천479명 더 많다.
아파트 1∼2채 소유자도 남성이 여성보다 많았다.
남성 1채 소유자는 424만2천326명(55.5%), 2채 소유자는 33만5천15명(52.2%)으로 여성보다 각각 83만5천여명, 2만8천607명 많았다.
하지만 3채부터는 성비 역전현상이 발생했다.
여성 소유자는 3채 4만632명(56.6%), 4채 1만1천261명(60.0%), 5채 5천109명(60.1%)으로 남성보다 많았다.
그 이후도 마찬가지로 여성이 더 많다. 6채 2천733명(58.3%), 7채 1천523(57.1%) 8채 1천15명(56.9%) 9채 667명(55.4%), 10채 574명(55.0%), 10채 이상 2천518명(51.3%)을 기록했다.
4∼5채 구간에서 여성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이러한 특성은 작년 한 해만 나타난 현상이 아니라 통계청이 관련 통계를 작성한 2014년부터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특히 3채 소유자의 남녀 차이는 매년 벌어지고 있다.
3채 소유자는 2012년 여성이 4천646명 더 많았고, 2013년에는 5천257명, 2014년 6천641명, 2015년 8천131명, 작년 9천477명으로 격차를 더욱 벌렸다.
소유자가 여성이 더 많은 현상은 유독 아파트에서만 나타난다. 주택 소유자는 모든 구간에서 여성보다 남성이 더 많았다.
통계청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은 행정자료를 활용해 통계를 냈기에 정확히 분석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다양한 해석을 내놨다.
함영진 부동산 114 리서치센터장은 "가부장적인 유교문화로 1∼2채 소유자가 남성이 많다는 점을 설명할 수 있다"며 "그 이상 소유는 1970년대 이후 집값이 급등할 때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장기보유했거나 부동산 성공 경험칙이 있는 이른바 '복부인'이 영향을 미친 것이 아닌가 추정한다"고 말했다.
함 센터장은 "여자가 남자보다 오래 살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고 분석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우리나라 노년층은 노후의 사적 복지나 안전망으로 아파트를 꼽는 경향이 있다"며 "남편이 사망한 뒤 아파트가 여성에게 넘어가기 때문이라고 설명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표] 남녀 2016년 아파트 소유 건수
┌─────────┬─────────┬────────┬────────┐
│아파트 소유 │남자 │여자│남녀 차 │
├─────────┼─────────┼────────┼────────┤
│총계 │4,626,641 │3,779,162 │847,479 │
├─────────┼─────────┼────────┼────────┤
│1건 │4,242,326 │3,406,722 │835,604 │
├─────────┼─────────┼────────┼────────┤
│2건 │335,015 │306,408 │28,607 │
├─────────┼─────────┼────────┼────────┤
│3건 │31,155│40,632 │-9,477 │
├─────────┼─────────┼────────┼────────┤
│4건 │7,495 │11,261 │-3,766 │
├─────────┼─────────┼────────┼────────┤
│5건 │3,387 │5,109 │-1,722 │
├─────────┼─────────┼────────┼────────┤
│6건 │1,956 │2,733 │-777│
├─────────┼─────────┼────────┼────────┤
│7건 │1,142 │1,523 │-381│
├─────────┼─────────┼────────┼────────┤
│8건 │769 │1,015 │-246│
├─────────┼─────────┼────────┼────────┤
│9건 │537 │667 │-130│
├─────────┼─────────┼────────┼────────┤
│10건 │469 │574 │-105│
├─────────┼─────────┼────────┼────────┤
│10건 이상 │2,390 │2,518 │-128│
└─────────┴─────────┴────────┴────────┘
※ 자료 : 통계청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