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보고서…"벤처투자 활성화·정부 지원 강화해야"
(서울=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인구 1만명당 신설기업 수 등 창업 관련 각종 지표에서 한국이 중국보다 뒤처진 것으로 파악됐다.
중국에서 전자상거래 확대, 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창업이 활발하게 이뤄지는 탓이다.
7일 한국은행 해외경제 포커스에 게재된 '중국의 창업 활성화 배경과 시사점' 보고서를 보면 지난해 1∼9월 1만명당 신설기업 수는 중국이 32개로 한국(15개)의 2배가 넘었다.
2012년에는 한국이 15개로 중국(14개) 보다 많았으나 중국은 매년 부쩍 늘어난 반면 한국은 정체했다.
지난해 1∼9월 중국에서 신설된 기업은 모두 451만개로 한국(7만5천개)의 60배였다.
중국에서 하루 평균 1만6천500개 기업이 새롭게 탄생한 셈이다.
벤처투자 규모도 중국(408억 달러)이 한국(15억 달러)의 27배에 달했다.
중국 신설기업들의 고용 유발효과도 한국보다 컸다.
2016년 중국의 신설기업당 고용자 수는 6.3명으로 한국(1.5명·2015년 기준)의 4배가 넘었다.
영국(2.3명), 독일(1.7명), 프랑스(1.3명)보다도 많았다.
중국 창업 활성화에는 전자상거래 빠른 성장, 창업 생태계 구축, 정부 적극 지원 정책이 뒷받침됐다.
2016년 중국 인터넷 쇼핑 구매자 수는 4억7천만 명에 달했다. 전자상거래 규모는 세계 39.2% 수준이었다.
글로벌 스타트업 생태계 평가에서 중국 베이징은 미국 실리콘밸리, 미국 뉴욕, 영국 런던에 이어 4위를 차지했다.
상하이도 8위를 차지할 정도로 우수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세계지적재산권기구(WIPO)가 평가하는 글로벌 혁신지수에서 중국은 2013년 35위에서 지난해 22위로 11계단이나 뛰어올랐다.
한국(18위→11위)과 순위도 한층 좁혀졌다.
여기에 중국 정부는 창업자 부담을 줄이고자 각종 행정 절차를 줄여주고 세금 감면, 임대료 보조, 교육프로그램 제공 등도 적극 하고 있다.
한은 이수향 조사역은 "창업 활성화는 중고속 성장 시대에 진입한 중국의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다만 과당 경쟁, 바이두·알리바바·텐센트 등 3대 정보기술(IT) 기업 쏠림 현상 심화, 임대료·임금 등 창업 비용 증가 같은 한계점도 안고 있다고 그는 지적했다.
그는 "한국도 창업 활성화를 통해 대내외 경제 환경 변화에 적극 대응하고 청년층 일자리를 확충해나가야 한다"며 "벤처투자 활성화, 교육프로그램 확대, 정부 지원 강화 등으로 자생적 생태계를 구축하고 창업에 사회적 인식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porqu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