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승욱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2018년 새해, 정부와 나의 목표는 국민의 평범한 일상을 지키고, 더 나아지게 만드는 것"이라고 천명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전 청와대 영빈관에서 신년 기자회견을 갖기에 앞서 발표한 신년사를 통해 이같이 말하고 "국민의 뜻과 요구를 나침반으로 삼아 국민께서 삶의 변화를 체감할 수 있게 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국민이 체감할 수 있을 정도로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새해 국정운영의 최우선 목표로 삼고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경제 정책을 강력하게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대통령이 돼 가장 먼저 한 일은 집무실에 일자리 상황판을 설치한 것이었다. '사람중심 경제'라는 국정철학을 실천하기 위해서였다"며 "일자리는 우리 경제의 근간이자 개개인의 삶의 기반이다. '사람중심 경제'의 핵심에 일자리가 있다"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좋은 일자리 확대를 위해 지난해 추경으로 마중물을 붓고,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시작했고, 8년 만의 대타협으로 올해 최저임금 인상률을 16.4%로 결정했다"며 "올해 이런 변화들을 확산시켜 나가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혁신성장과 공정경제를 위한 노력도 계속해 나가겠다고 다짐했다.
문 대통령은 "혁신성장은 우리의 미래 성장동력 발굴뿐만 아니라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도 반드시 성공해야 하며, 공정경제는 반칙과 특권이 없는 사회, 더불어 잘 사는 나라로 가기 위한 기반"이라고 역설했다.
이어 "올해 우리는 국민소득 3만 불 시대를 맞이할 것이나 3만이라는 수치가 중요하지 않다"며 "국민소득 3만 불에 걸맞은 삶의 질을 우리 국민이 실제로 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해 문 대통령은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와 치매 국가책임제 도입, 법정 최고금리 24%로 인하, 정책금융기관의 연대보증제도 전면 폐지, 노동자 휴가지원제도 시행, 8천600억 원 규모의 모태펀드와 혁신모험펀드 출범, 어르신 기초연금 인상, 아동수당 지금 등 삶의 변화를 이끌 수 있는 주요 정책들의 사례를 제시했다.
kind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