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민양 교수 연구팀 "슈퍼커패시터 제조 단계 10분의 1 단축"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11/AKR201801110517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양민양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고성능 필름형 차세대 전지를 간단한 방법으로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슈퍼커패시터라고 부르는 이 전지는 화학반응 없이 전해질 이온이 전극에 흡착하는 반응을 이용해 전력을 저장한다.
빠른 충·방전, 높은 출력, 긴 수명 등의 특성 덕분에 차세대 에너지 저장소자로 손꼽힌다.
유연한 기판에 만드는 필름형 슈퍼커패시터는 웨어러블·유연 전자소자 회로에 직접 연결해 전원 역할을 할 수 있다.
기존엔 유연한 필름 위에 높은 표면적의 금속 전극을 형성하고자 포토리소그래피나 진공증착 등 반도체 공정을 이용했다.
금속 전극 표면적 향상을 위해 추가로 비싼 설비와 두 단계의 유독한 화학 공정도 필요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11/AKR20180111051700063_05_i.jpg)
KAIST 연구팀은 이보다 빠르고 저렴하며 간단한 레이저 성장 소결 공정 기술을 구현했다.
나노미터 단위의 기공을 갖는 초 다공성은 전극을 제조하는 기술인데, 이를 슈퍼커패시터 전극으로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레이저만을 이용해 은 미세 패턴을 형성하는 동시에 다공성 나노구조를 생성해 10단계 이상 소요되던 세부 제조 과정을 1단계로 간소화했다.
연구팀은 기존 금속 나노 용액과 비교해 저렴한 무입자 유기금속 이온 화합물 용액을 사용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11/AKR20180111051700063_04_i.jpg)
이를 통해 핵생성·열성장·다결정 금속 막 형성으로 이어지는 특수한 성장 소결 원리를 규명했다.
단일물질 대칭 구조의 슈퍼커패시터 전극과 달리 서로 다른 금속산화물(이산화망간·산화철)을 각각 양극과 음극으로 비대칭 적용해 구동 전압을 크게 향상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 전지는 4초 안에 초고속으로 충전할 수 있다. 5천 번 이상 내구성 테스트도 견뎠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11/AKR20180111051700063_03_i.jpg)
양민양 교수는 "전원까지 포함하는 진정한 의미의 완전한 유연 전자기기 현실화에 더 가까워졌다"며 "필름형 슈퍼커패시터 활용 폭을 크게 넓힐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재학 박사과정이 1저자로 참여한 연구 논문은 영국왕립화학회 '저널 오브 머티리얼즈 케미스트리 에이'(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A) 지난해 12월 21일 자 표지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