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12/AKR20180112071600003_01_i.jpg)
'똘똘한 한 채' 수요 몰려…신도시도 강세
경기도는 입주물량 증가로 보합·하락 늘어 '대조'
(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를 잠재우기 위한 정부의 규제와 거래 단속 방침에도 불구하고 강남권 아파트값 강세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8·2부동산 대책 이전 수준으로 회귀했다.
12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금주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은 0.57%로 지난주(0.33%)보다 오름폭이 확대됐다. 이는 8·2대책 발표 직전인 7월 말과 같은 수준이다.
대출 규제·세금 강화 등 다주택자에 대한 압박으로 '똘똘한 한 채'에 집중하려는 수요가 늘면서 강남권을 비롯한 서울 요지의 아파트값이 좀처럼 떨어지지 않고 있다.
잠실 주공5단지를 비롯해 재건축 연한이 도래한 30년 이상 아파트가 포진한 송파구가 1.19%로 가장 많이 올랐다.
잠실 주공5단지와 우성 1·2·3차 아파트값이 1천만∼6천만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잠실 리센츠·파크리오 등 일반아파트와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등 지은 지 30년을 맞았거나 임박한 단지도 강세를 보이면서 주택형에 따라 1천만∼7천500만원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재건축 기대감뿐만 아니라 지하철 9호선 연장 호재도 가격 상승에 한 몫하고 있다.
송파에 이어 강남구도 1.03%로 1%대의 상승률을 기록했고 양천(0.95%)·서초(0.73%)·강동(0.68%)·동작(0.38%)·성동구(0.38%)의 순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다.
강남구 대치동 선경1·2차와 압구정동 구현대 1차 아파트 등이 2천500만∼1억원 오른 것으로 가격 조정이 이뤄졌다.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8/01/12/GYH2018011200120004400_P2.jpg)
압구정동 중개업소 관계자는 "일주일에 최대 1억원이 오른 것은 아니고, 지난해 말부터 그동안의 가격 상승을 금주에 반영하며 가격이 상향 조정된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이유로 서초구의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반포, 신반포한신(3차), 반포자이 등 대표 단지들도 1천만∼1억원 상향 조정됐다.
서울 아파트 강세는 일부 서울 인근 신도시로 확산할 조짐이다. 이번 주 신도시 아파트값은 0.15%로 지난주(0.06%)보다 상승폭이 2배 이상으로 커졌다.
서울 접근성이 좋은 분당(0.49%)·판교(0.21%)·위례(0.20%) 등이 강세를 주도했다.
분당 서현동 시범한양은 1천500만∼3천만원, 야탑동 장미현대는 2천만∼3천500만원 상승했다.
이에 비해 일산·산본·중동 등지는 보합세를, 입주 물량이 많은 동탄(-0.01%)·평촌(-0.02%)은 가격이 하락해 대조를 이뤘다.
입주물량이 늘고 있는 경기도(0.01%)로 재건축 사업이 활발한 과천시(0.95%)만 가격이 많이 올랐을 뿐, 화성(-0.26%)·광명(-0.05%)·김포(-0.03%)·고양시(-0.02%) 등은 마이너스를 기록하는 등 보합 내지 하락 지역이 확대되는 분위기다.
전셋값은 서울이 0.09%, 신도시가 0.01% 각각 올랐으나 경기·인천은 0.03% 하락하며 약세가 지속됐다.
<YNAPHOTO path='AKR20180112071600003_01_i.jpg' id='AKR20180112071600003_0101' title='' caption='8.2부동산 대책 이후 서울 아파트값 변동률 [부동산114 제공=연합뉴스]'/>
s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