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코스닥이 두 달 만에 20% 이상 상승했다. 단기 과열이다. 이에 따라 지금이라도 시장을 쫓아가야 할지, 아니면 주식 비중을 줄여야 할지 난감하다. 결론적으로 방망이를 너무 짧게 잡을 필요는 없다.
첫째, 과거 정권별 수혜주는 한번 테마가 형성되면 적어도 1∼2년 반 정도 상승했다. 한국은 5년 단임 정부의 특성상 정권별로 수혜주가 존재하는데 당시 주도주들의 흐름을 분석해보면 최소 1년에서 2년 5개월 정도는 상승한 것으로 나타난다.
글로벌 육성 산업 등과 맞물려 정부의 정책이 나타나면 정책 수혜 효과를 주식시장은 반영했고 일정기간 지속됐다.
둘째, 코스닥은 집권 2년차에 더 강했다. 통상 집권 1년차에 정부는 후보 시절 언급했던 공약 중 지지율이 높고 시급한 것부터 추진하는 경향이 있다. 2년차에는 구체적인 정책이 가동된다. 이런 흐름은 한국뿐 만이 아니다. 미국, 한국, 중국 등 정부 역할이 큰 국가들의 경우 집권 초기 수익률이 높았다.
결국 중요한 것은 1월 말부터 구체화될 집권 2년차 업무보고에 담길 정책들이다.
코스닥의 흐름이 정책 효과에 따른 것이라면 정부의 의도와 정책 방향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정부의 가장 큰 목표는 일자리 창출이다. 이를 위해서 자본시장이 할 수 있는 것은 창업, 벤처 투자를 활성화해 일자리를 확대하는 것이다. 창업 및 벤처 투자가 확대되려면 투자 회수를 위한 유통 시장인 코스닥시장 활성화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현재 코스닥은 코스피의 2부 시장 정도로 인식된다. 단기 투자자금 중심의 개인 투자비중이 90%를 넘는다. 나스닥처럼 코스닥도 벤처창업 기업이 자본 조달을 통해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인프라(상장 요건 완화, 자율성, 건전성, 공정성 등)를 갖춰야 한다는 논리다.
최근 발표된 '코스닥시장 활성화 방안'의 함의는 기관 중심의 코스닥 활성화다. 물론 개인 코스닥 전용 펀드에 대한 세제혜택도 포함됐다. 하지만 개인 관련 자금 유인책은 강하지 않다.
과거 세제혜택으로 단기간 개인 자금을 급격히 유입시킨 적도 있지만, 곧바로 지수의 재하락을 경험한 바도 있다. 그렇다고 연기금 등에만 의존하면 실행 효과를 담보할 수 없고 코스닥 상위 종목으로 쏠림 현상을 자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관기관의 자금 출자 방안이 포함됐다.
정부 정책이 원활히 진행된다면 연초에만 수급이 몰리기보다 정책이 현실화되면서 기관 자금이 추가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 후속 정책의 발표도 기대된다.
결론적으로 최근 코스닥시장 급등으로 인해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졌지만 한두 달로 끝날 흐름은 아닌 듯하다.
(작성자 : 강현철 NH투자증권 이사, clemens.kang@nhqv.com)
※ 이 글은 증권사 애널리스트(연구원)의 의견으로, 연합뉴스의 편집방향과는 무관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