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충제 계란 파동' 후속 조치…"국가사업으로는 세계 최초"
(서울=연합뉴스) 정빛나 기자 = 닭·오리고기·계란 등 가금산물의 유통경로를 소비자들이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가금류 이력제가 도입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내년 하반기 '가금 및 가금산물 이력제' 도입을 목표로 올해 시범사업을 추진한다고 30일 밝혔다.
축산물 이력제는 가축 사육부터 판매까지 모든 단계별 정보를 기록·관리하고, 문제가 발생했을 시 신속한 회수·유통 차단 등의 대처가 가능한 제도다.
우리나라는 2008년 소 이력제를 시작으로 2014년 돼지고기 이력제를 도입해 소·돼지의 사육·유통·판매 모든 단계에서 이력제를 의무 시행하고 있다.
반면 가금 및 가금축산물 분야는 이력관리 체계가 구축되지 않아 체계적인 방역·안전 및 수급관리가 어렵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지난해 살충제 계란 파문 당시 문제가 된 계란을 추적·회수하는 과정에서 이력제 필요성이 대두했고, 농식품부는 당시 후속 대책으로 가금 이력제를 내년까지 조기 도입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일본 등 일부 국가에서 협회별로 가금 이력제를 자율 실시하는 경우는 있지만, 가금 이력제가 국가사업으로 추진되는 것은 전 세계적으로 우리나라가 처음이라고 농식품부는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올해 3월부터 10월까지 농장별 식별번호 부여 등 기반 마련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현장조사를 한 뒤, 오는 11월부터 1년간 이력제를 시범 실시한다.
시범사업에는 총 2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처음에는 전체 가금산물의 10%에 대해서만 이력제를 시범 실시하고, 내년 6월께 시범운영 물량 비중을 30%로 늘리는 등 단계적으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후 시범운영 결과를 바탕으로 관련 법령 개정을 거쳐 내년 12월부터 제도를 전면 시행할 계획이다.
이력제가 시행되면 생산단계에서는 농장의 가금 사육 및 입식 현황 신고(월별), 가금 이동(농장간 이동 및 도축출하) 사전신고가 의무화된다.
유통단계에서도 생산이력과 연계된 가금산물(닭·오리고기, 계란) 이력번호 표시 및 유통 주체별(도축·포장·판매) 거래정보 신고가 의무화된다.
소·돼지에 이어 가금류까지 이력제로 관리하게 되면 국내에서 소비되는 주요 축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것으로 농식품부는 기대했다.
농식품부는 향후 첨단 정보통신기술이나 블록체인 기술 등이 이력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연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shin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