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징.타이베이=연합뉴스) 진병태 특파원.류정엽 통신원 = 중국이 대만해협을 지나는 신항로 운항을 강행한 데 대해 대만이 중국 항공사의 춘제 특별편 운항을 불허하는 맞불을 놓으면서 양안 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중국이 지난 4일 대만해협의 중간선에 근접한 M503선의 북행 항로, 그리고 해당 항로와 둥산(東山)시·푸저우(福州)시·샤먼(廈門)시를 가로로 연결하는 W121·W122·W123선에 항공편 운항을 밀어붙이자 대만이 정면 대결에 나선 모양새다.
양안의 이번 갈등은 특히 중국 군사정보를 대만에 넘겨준 혐의로 본토인 2명이 중국 당국에 체포되면서 관계가 급격히 얼어붙은 가운데 빚어진 것이어서 상당한 파장을 불러올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30일 대만 연합보 등에 따르면 대만 당국은 해당항로를 운항하는 중국 동방항공과 샤먼항공의 춘제 연휴(2월 15∼21일) 임시항공편 176편을 불허했다.
이날 두 항공사는 인터넷에 특별편 운항을 취소한다는 공지와 함께 성명을 내고 자사의 운항을 불허한 대만 정부에 강력한 유감을 표했다.
이에 대해 대만 허천단(賀陳旦) 교통부장(장관)은 "문제의 본질은 비행 안전에 있다"며 "우리는 국제사회에 이 본질이 무엇인지 알려야 한다"고 맞받아쳤다.
앞서 대만 민항국은 안전 문제를 들어 중국 민간항공사에 신항로를 이용하지 말라고 수차례 요청한 바 있다.
대만의 이번 불허조치로 5만여 대만인의 귀성길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대만 언론은 전했다. 중국에는 약 20만여 명의 대만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대만 당국은 최악의 경우를 위해 C-130 군수송기를 중국과 가장 가까운 진먼(金門)섬 등으로 투입, 부족한 자국민의 귀성 교통편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양안정책협회'가 실시한 최근 설문조사에서 대만인 74%가 중국이 개통한 신항로에 반대한다고 답했고, 응답자의 86%가 정부가 중국과 대화를 통해 비행의 안전을 확보한다고 답했다.
이와 관련해 대만 총통부와 대(對) 중국 창구인 대륙위원회는 중국에 조속한 협상을 촉구했다.
대만의 중국담당부처인 대륙위원회 쟝샤오웨(張小月) 주임은 29일 기자회견에서 "올해에 양안관계가 더 큰 도전을 받을 것"이라며 "중국이 의도적으로 정부와 소통을 무시하면서 민간 교류를 강화하는 정책을 실시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중국에서는 지난 28일 중국 장쑤(江蘇)성에서는 대만에 군사정보를 넘겨준 마량량(馬亮亮) 량신(梁<金(쇠금)3개>) 등 본토인 2명이 체포됐다.
이들은 지난 2016년 7월 대만에 군사훈련 및 무기 실험에 관한 정보를 전달한 혐의를 받고 있다.
한편 대만 당국의 이번 조치에 대해 중국 민항국은 대만이 양안 동포의 춘제 귀성을 막아 양안 인민의 감정을 상하게 했다며 책임을 면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중국 민항국 대변인은 대만 당국의 이번 조치가 양안 동포의 이익을 돌보지 않은 것이라면서 양안 항공사와 양안 동포, 특히 대만동포의 이익에 손상을 주게 될 것이라고 비난했다.
중국 민항국은 M503항선은 해당지역의 항공수요 증가에 대처하기 위한 것으로 대만의 비행안전 우려는 근본적으로 근거가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항공운수협회도 대만이 동방항공, 샤먼항공에 대해 춘제기간 임시항공편 운행을 불허한 것은 고향에 돌아가 친지를 방문하려는 절박한 양안 민중의 요구를 도외시한 것이라고 비난했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30/AKR20180130117951009_02_i.jpg)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1/30/AKR20180130117951009_01_i.jpg)
lovestaiw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