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반도체·디스플레이 발전전략 발표…차세대 기술개발 지원
장비·소재 국산화율↑…기업도 80조원 국내 투자로 일자리 창출
(서울=연합뉴스) 김동현 기자 = 정부가 우리 경제를 견인하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에서 선두 지위를 지키기 위해 신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아직 국내 기업이 열세인 장비와 소재 산업에서는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해 수입 의존도를 낮추기로 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발전전략 발표 및 상생발전위원회 출범식'을 했다.
산업부는 두 산업에서 후발국과 5년 격차를 유지하고 선진국과 5년 격차를 극복한다는 의미를 담은 'GAP 5' 전략을 제시했다.
산업부는 현재 국내 기업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을 선도하고 있지만, 산업 경쟁력에 중요한 장비와 소재 등 후방산업은 미국, 일본, 유럽 등이 주도하고 국산화율이 낮다는 점을 문제로 인식했다.
또 중국 등 경쟁사가 빠르게 추격하는 가운데 주력 제품인 메모리 반도체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이후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 한다고 봤다.
산업부는 미래 시장을 선도할 획기적 기술개발이 답이라고 판단했다.
기존 반도체의 1천분의 1에 불과한 전력으로 1천배의 성능을 내는 반도체를 개발하는 '2K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실리콘 이후의 신소재와 나노 단위를 초월하는 극미세 공정기술을 연구할 계획이다.
디스플레이는 20% 이상 신축이 가능한 차세대 플렉시블 패널을 개발하고 소재 사용량과 공정 시간을 각각 60%, 50% 줄일 수 있는 프린팅 방식의 생산체계를 구축한다.
정부는 올해 안으로 국가 연구개발 과제를 위한 예산 책정과 사업 선정을 마치고 개발에 착수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반도체·디스플레이를 사용하는 자동차, 가전, 에너지, 바이오, 기계 등 수요산업과 공동 연구개발, 해외진출 등 연계를 강화해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다는 전략이다.
산업부는 이런 전략을 통해 현재 3~4% 안팎인 시스템반도체 세계 시장 점유율을 2022년까지 6%로 확대하고 OLED 수출을 2017년 85억 달러에서 2022년 255억 달러로 3배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세계적 경쟁력을 가진 장비·소재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5년간 총 2조원 규모의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2.0'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중소기업이 개발한 장비·소재를 대기업 양산라인에서 검증하는 '성능 평가사업' 지원 대상을 연평균 10건에서 100건으로 확대한다.
중소기업에 대한 대기업 자금 1조원 대출, 정부와 대기업 1 대 1 매칭을 통한 석·박사 인력 2천명 양성, '반도체 성장펀드' 2천억원 추가 조성 등도 추진할 방침이다.
목표는 반도체 장비·소재 국산화율을 각각 20%, 50%에서 2022년 30%, 70%로 확대하고 매출 1조원 이상의 '월드챔프' 장비기업 8개(현재 3개)를 육성하는 것이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장비·소재 국산화율을 각각 70%, 30%에서 2022년 80%, 50%로 높이고 세계 1위 수준의 장비·소재 기술 4개(현재 0개)를 개발하기로 했다.
기업들도 2024년까지 국내에 총 80조4천억원을 투자하는 등 좋은 일자리 창출을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삼성전자가 낸드(2018~2021년 14조4천억원)와 AP(2018~2020년 6조원)에 총 20조4천억원을, SK하이닉스가 2024년까지 낸드 등에 총 31조원을 투자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6~2019년 OLED 14조원, LG디스플레이는 2016~2020년 OLED 15조원을 투자한다.
이날 행사에는 백운규 산업부 장관과 박성욱 SK하이닉스 부회장, 진교영 삼성전자 사장, 이동훈 삼성디스플레이 사장, 한상범 LG디스플레이 부회장 등 업계 관계자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소재·부품·장비산업 육성을 위한 상생발전 공동선언',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수요연계 대학 연구개발 및 인력양성 지원',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분야 기술유출 방지 협력' 등 3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blueke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