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5천억·고용 7천 명·지식재산권 700건·투자유치 500억 목표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08/AKR20180208057500060_01_i.jpg)
(의정부=연합뉴스) 우영식 기자 =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창업 초기기업인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육성하기 위해 313억원을 투입, 청년 창업가 3천600여 명을 지원한다.
경기도는 8일 오전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 북부청사에서 정책 브리핑을 열고 '2018년 기술혁신 창업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창업지원 계획은 4대 분야 19개 창업지원 사업에 313억2천만원을 투입해 436개 스타트업과 3천638명의 청년 창업가를 지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도는 이같은 지원을 통해 매출 5천억원, 고용 7천 명, 지식재산권 700건, 투자유치 50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도는 앞서 지난 3년간 1천245억원을 투입해 4천963개 창업기업과 5천199명의 예비창업자를 지원해 매출 1조6천142억원, 일자리 1만6천997개 창출, 지식재산권 3천716건, 투자유치 805억원을 달성한 바 있다.
창업지원은 성장단계별 맞춤형 창업지원, 창업 인프라 확충과 기능 고도화, 정책자금과 투자지원 확대, 민관협력 창업지원 체계 구축 등 4개 분야로 모두 19개 사업이 추진된다.
도는 맞춤형 창업지원 사업으로 9개 사업에 116억8천800만원을 편성했다.
청년 창업가 육성을 위한 교육과정을 강화해 스타트업 캠퍼스의 16주 전일제 교육프로그램의 5개 과정을 7개 과정으로 늘렸다.
또 창업 후 정체기에 놓인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슈퍼맨창조오디션에 데스밸리 분야를 신설했다. 슈퍼맨창조오디션은 우수 아이템을 가진 예비창업자를 선발해 창업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반려동물 창업 우수 아이템에 대한 사업지원금을 1천500만원에서 2천만원으로, 대학생 대상 창업지원금은 1천500만원에서 3천만원으로 각각 인상했다.
창업 인프라 확충과 기능 고도화를 위해서는 90억3천500만원을 투입해 7개 사업을 추진한다.
스테이션 지(Station-G), 스타트업 랩(StartUp-Lab), 판교테크노밸리의 소일 앤 소사이어티(Soil & Society) 등 개방, 교류형 인프라 확충으로 아이디어의 사업화와 다양한 창업분야 협업 촉진을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스테이션 지는 철도고가 아래의 유휴부지를 창업공간으로 재탄생시키는 곳이며 스타트업 랩은 실·국간 협업을 통해 전략 분야 스타트업을 발굴해 육성하는 사업이다.
판교테크노밸리 스타트업 캠퍼스 1층에 있는 판 소일 앤 소사이어티는 미국 실리콘밸리에 조성된 배터리 클럽에서 착안한 것으로 청년 창업가와 기업 CEO들이 소통하는 공간이다.
정책자금 및 투자지원 확대를 위해서도 2개 사업에 100억원을 지원한다.
우선 250억원(도비 50억, 민간투자 200억) 규모의 슈퍼맨펀드 4호를 조성한다.
슈퍼맨펀드는 도내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보유한 중소 및 벤처기업에 투자하기 위해 2015년부터 도가 조성한 펀드다. 2015년 200억원 규모의 슈퍼맨펀드 1호, 2016년 210억원 규모의 슈퍼맨펀드 2호, 지난해 340억 규모의 슈퍼맨펀드 3호 등 모두 750억원의 펀드를 조성한 바 있다.
이밖에 민간협력 창원지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는 6억원을 들여 온라인 창업 플랫폼을 구축해 예비창업자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희준 경기도 일자리노동정책관은 "창업 활성화가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창업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조성하는 것이 기술혁신 창업지원의 기본 목표"라며 "경기도가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도록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wyshi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