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전북 곳곳에 있는 종교 관련 근대문화유산의 발굴 작업이 본격화한다.
등록문화재와 문화재자료로 지정한 뒤 국비와 도비를 반영, 체계적인 관리를 하려는 취지에서다.
전북도는 50년 이상 지난 사적지, 건조물, 가옥 등 근대문화유산을 발굴하기 위한 전수조사를 8∼18일 진행한다고 밝혔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08/AKR20180208124900055_01_i.jpg)
일선 시군, 종단과 함께 공동으로 발굴 작업을 한 뒤 발굴된 자료를 검토해 5월께 도 문화재위원회 심의를 거쳐 등록문화재와 문화재자료로 지정할 계획이다.
등록문화재는 문화재청장이, 문화재자료는 도지사가 각각 지정한다.
국비와 도비 등의 예산 반영으로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근대문화유산은 건설·제작·형성된 후 50년 이상 지난 것으로 역사, 문화, 예술, 종교 등 각 분야에서 기념·상징적 가치를 지녀 지역의 역사·문화적 배경이 되는 문화재를 일컫는다.
도내 종교 관련 등록문화재는 진안성당 어은공소, 장수성당 수분공소, 군산 둔율동 성당(이상 천주교)과 전주 신흥고 강당과 본관 포치(기독교), 원불교 익산성지(원불교) 등 5곳이다.
또 전동성당 사제관, 천주교 신성공소, 금산교회, 두동교회 구 본당 등 4곳이 문화재자료로 등록됐다.
ich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