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 미디어시청 증가로 사용량↑…SKT "15일 최대 5.1PB 달할 것"
이통3사, 추가인력 투입 등 비상근무체제 돌입
![](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2/12/PYH2018021223320001301_P2.jpg)
(서울=연합뉴스) 고현실 기자 = 평창동계올림픽 개막식 당시 이동통신 트래픽(사용량)이 평소보다 3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파악됐다. 이후 트래픽 흐름은 한동안 잠잠했지만, 설 연휴를 맞아 다시 급증할 것으로 보인다.
13일 이동통신업계에 따르면 지난 9일 평창올림픽 개막식 당시 전국의 이동통신 트래픽이 2∼3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가입자가 가장 많은 SK텔레콤[017670]의 경우 9일 오후 4∼11시 통신 시도 건수(호)는 평시 대비 3배 늘었다. 개최지인 강원도 지역은 증가세가 더 두드러졌다.
대관령면은 6배, 강원도내 KTX 구간은 4배, 영동고속도로는 3배 급증했고, 경기장행 셔틀버스를 갈아타는 대관령 환승장은 27배 폭증했다. 단시간에 이용자가 몰리며 트래픽이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KT는 개막일 당일 전국적으로 LTE 트래픽이 약 2배 증가한 것으로 파악했다.
개막일 이후 트래픽은 평시 수준으로 돌아왔지만, 쇼트트랙 등 주요 종목 경기가 이어지면서 점차 느는 추세다.
설 연휴가 시작되면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2/09/PYH2018020950810001300_P2.jpg)
SK텔레콤은 15일 귀향객의 미디어 시청이 급증하면서 데이터 사용량이 최대 5.1PB(페타바이트)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1월 하루 평균 대비 20.4% 많은 수치로, 2GB짜리 UHD 영화를 약 268만편 내려받을 수 있는 수준이다. 참고로 1PB는 약 105만GB에 해당한다.
SK텔레콤에 따르면 성묘 인파가 몰리는 14일에는 평상시 대비 음성과 데이터 시도 호가 LTE는 5.9%, 3G는 4.7% 증가하고, 고속도로 및 공원묘지 등에서는 최대 300% 이상 증가할 전망이다. 또 설 연휴 기간 모바일 내비게이션 T맵 사용량도 평시 대비 89%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연휴 기간인 17일과 18일에는 각각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 국가대표 경기가 열려 트래픽이 더욱 몰릴 전망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13/AKR20180213091100017_02_i.jpg)
이통 3사는 올림픽과 연휴에 따른 트래픽 급증에 대비해 비상근무에 돌입한 상태다. 기지국을 증설하고, 추가 인력을 투입해 24시간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했다.
업계 관계자는 "모바일 기기로 올림픽을 즐기는 이용자가 늘어난 데다 설 연휴까지 겹치면서 주요 경기가 있는 시간대는 트래픽이 평소보다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okk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