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의 통합정당인 바른미래당이 13일 공식 출범했다. 국민의당과 바른정당은 오전 수임 기관 합동회의를 열고 합당 안건을 의결했다. 이어 바른미래당은 오후 일산 킨텍스에서 출범대회를 열고 창당을 공식 선언했다. 바른정당의 초대 공동대표에는 국민의당 박주선 국회부의장과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가 선임됐다.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통합 마무리 후 대표직 사퇴' 약속대로 2선으로 물러났다. 바른미래당은 ▲민생 우선 정치 ▲굳건한 안보로 평화통일 기반을 다지는 정치 ▲통합과 개혁의 정치 ▲미래를 여는 정치 등 4대 핵심가치를 담은 정강 정책도 채택했다. 유승민 공동대표는 수락연설에서 "불안하고 무능한 집권여당과 경쟁하는 수권정당이 될 것이고, 자유한국당을 교체하는 중도보수의 개혁정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박주선 공동대표는 "중도개혁 정당으로서 대한민국의 진정한 개혁을 이루고 마침내 중도개혁 정권을 이뤄내겠다"고 밝혔다.
바른미래당은 국민의당(21석)과 바른정당(9석)의 의석을 합친 30석으로 출발했다. 국민의당에서 탈당한 호남 출신 의원 15명이 지난 6일 민주평화당(민평당)을 창당하면서 바른미래당의 의석은 원래 국민의당 의석에도 못 미치게 됐다. 바른미래당은 '합리적 중도'와 '개혁적 보수'의 결합을 표방하고 있다. 또 의석 121석의 집권여당 더불어민주당과 116석의 제1야당 자유한국당과 경쟁하는 대안 정당을 목표로 한다. 바른미래당의 출범은 6·13 지방선거를 앞두고 활로를 찾으려는 이합집산으로 볼 수도 있다. 또 호남의원 대다수가 민평당으로 이탈한 상태에서 이뤄지는 불완전한 통합으로 평가되기도 한다. 그런데도 바른미래당의 탄생에 눈길이 가는 이유는, 한국 정치사의 고질적인 병폐인 지역대결 구도와 극단적 대결정치를 완화하리라는 기대감 때문일 것이다. 영호남에 기반을 둔 정당의 통합은 흔치 않은 일이다. 2년 만에 역사 속으로 사라진 국민의당은 2016년 4·13 총선을 앞두고 민주당을 탈당한 안철수 전 대표와 호남의원들이 만든 정당이다. 또 바른정당은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에 동조한 새누리당(한국당 전신) 출신 의원들이 작년 1월 창당한 정당이었다.
양당제보다 다당제를 선호하고, 제3의 정치세력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적지 않다. 4·13 총선에서 대안 정당을 표방했던 국민의당이 정당득표율 26.7%에 38석을 확보하고, 19대 대선에서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가 득표율 21.3%를 기록한 데서도 알 수 있다. 하지만 국민의당은 그동안 국민의 기대에 제대로 부응하지 못했다. 정체성도 어정쩡하고 정책적인 면에서도 대안 정당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또 안철수 전 대표와 호남의원들이 사사건건 갈등을 빚다 분당 사태를 맞았다. 작년 1월 창당 당시 33석을 자랑하던 바른정당도 이렇다 할 존재감을 보이지 못하다가 의석 9석의 군소정당으로 전락했다. 두 당이 뭉친 바른미래당은 실패의 전철을 밟지 말고 이름에 걸맞게 바른 정치로 국민에게 희망의 미래를 제시하는 정당이 되길 바란다. 수권정당이 되겠다고 선언한 것은 원대한 포부겠지만, 갈 길은 멀다. 우선 참신한 인재들을 대거 영입하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정책도 적극적으로 개발해 국민이 기대를 할 만한 새 모습을 보여주기 바란다.
바른미래당의 창당으로 국회는 민주당, 한국당, 바른미래당의 '신(新) 3당 체제'로 재편됐다. 국회 운영은 더욱 복잡한 양상을 띠게 됐다. 민주당이나 한국당 어느 쪽도 혼자서는 국회를 좌지우지할 수 없는 구도다. 각 정당의 정체성과 정책노선 등으로 미뤄볼 때 국회는 민주당, 민평당, 정의당의 '범여'(汎與), 한국당과 바른미래당이 경쟁하는 '범야'(汎野)로 양분됐다. 또 바른미래당 뿐 아니라 민평당도 캐스팅보트를 행사할 공간이 생겼다. 이에 따라 법안 처리나 인사 표결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공조나 연대가 이뤄지고 그 결과가 표결로 연결될 가능성이 커졌다. 대화와 타협을 통한 정치의 필요성이 한층 더 커진 셈이다. 여야 모두 정치력을 발휘해 생산적인 국회를 만들어 나갔으면 한다. 국민은 당리당략보다 민생과 국익을 우선시하는 성숙한 정치를 보고 싶어 한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