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기대선 거치며 표심 변화…민주당 세 확산 속 한국당 지지율 하락
(창원=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6·13 지방선거가 넉 달 앞으로 다가오면서 경남 최대 도시인 창원시 수장을 뽑는 선거판이 서서히 달아오르는 분위기다.
창원시는 도청이 있는 수부도시이자 인구가 106만명에 이르는 광역시 급 대도시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14/AKR20180214131800052_01_i.jpg)
수도권 100만 도시를 빼면 전국 최대 기초지방자치단체다.
경남 전체 인구·산업 생산의 30%가량을 차지해 정치·경제적 위상이 다른 시·군을 압도한다.
그래서인지 여야 모두 창원시장 선거를 반드시 이겨야 하는 승부로 꼽는데 주저하지 않는다.
예비후보 등록 시작이 아직 열흘 이상 남았지만 설 연휴 전까지 출마 선언이나 출판기념회가 잇따르면서 각 당별 후보자 윤곽이 어느 정도 드러났다.
더불어민주당(이하 민주당)에선 이기우 전 중소기업진흥공단 이사장, 전수식 전 마산시 부시장, 허성무 전 경남도 정무부지사가 당내 경선 준비를 하고 있다.
자유한국당(이하 한국당) 후보론 강기윤 전 국회의원, 김종양 전 경남지방경찰청장, 김충관 전 창원시 제2부시장, 안상수 현 창원시장, 조진래 여의도연구원 부원장, 최형두 전 국회 대변인 등이 공천경쟁에 뛰어들었다.
윤대규 전 경남대학교 서울부총장도 최근 한국당 공천경쟁에 가세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바른미래당에서는 정규헌 마산합포 당협위원장이 출마 선언을 했다.
진보진영에서는 석영철 민중당 경남도당 위원장이 도전한다.
정의당, 노동당 등 후보는 아직 안갯속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14/AKR20180214131800052_02_i.jpg)
2010년 창원·마산·진해시가 합쳐 통합 창원시가 탄생한 후 창원시장 선거는 두 번 치러졌다.
두 차례 모두 보수정당이면서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 후보가 50% 이상 득표해 2위 후보를 20% 포인트 이상 따돌리며 비교적 손쉽게 승리했다.
민주당 후보 득표율은 30% 초반에 머물렀다.
그러나 이번 선거를 앞두곤 판세가 바뀌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우선 지난해 민주당이 조기 대선에서 승리해 여야가 교체됐다.
최순실 국정농단-대통령 파면-조기 대선을 거치면서 민주당은 당세를 많이 확장했다.
지난해 대선에서 민주당 문재인 후보는 창원시에서 24만6천329표를 얻었다.
한국당 홍준표 후보(24만9천816표)에 불과 3천487표 뒤졌다.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간 표차가 17만표가 넘었던 점을 고려하면 4년 만에 표심이 크게 변했다.
민주당은 과거 두 차례 창원시장 선거에서 출마 희망자가 1명에 불과했거나 진보정당에 야권 단일후보를 넘겨야 했을 정도로 선거 기반이 취약했다.
그러나 이제는 당내 경선을 통해 후보를 뽑아야 할 정도로 출마 희망자가 몰리고, 권리당원 수가 증가했다.
민주당 경남도당 관계자는 "조기 대선을 전후로 보수·진보 진영에 있던 분들이 다수 합류하는 등 민주당이 창원시에서 외연을 많이 확장했다"며 "이번 선거에서는 한국당과 대등한 대결이 가능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14/AKR20180214131800052_03_i.jpg)
한국당은 통합시 출범 이전부터 창원시장과 지역구 국회의원은 물론 대부분의 시의원까지 배출, 사실상 '지역 여당'으로 입지를 굳혀왔다.
그러나 최순실 국정농단을 전후로 당 지지율이 민주당보다 더 떨어지는 등 보수진영이 위축되면서 과거와 같이 압도적인 세를 과시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한국당 내부 상황도 민주당보다 복잡하다.
경남도지사를 두 번 역임한 홍준표 대표와 친소 관계가 어떤 식으로든 창원시장 후보 공천에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도 많다.
그런 점에서 창원시장 후보 공천 과정에서 홍 대표가 재선을 노리는 안상수 시장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할 지도 관심거리다.
현역 국회의원 가운데 경남도지사 출마설이 끊이지 않는 박완수(창원의창)·윤한홍(마산회원) 의원의 거취도 창원시장 후보 공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온다.
한국당 경남도당 관계자는 "후보가 결정되지 않은 지금 당 또는 후보 지지율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며 "결국은 한국당과 민주당 후보 간 각축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두 정당 모두, 후보자 간 앙금 없이 당내 공천을 마무리하면서 이탈자를 최소화해 본선에 대비해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두 정당이 확실한 승리를 위해 상대적으로 세가 약한 보수, 진보 정당을 상대로 각각 후보 단일화를 추진할 가능성이 있다.
민주당은 창원공단 근로자를 중심으로 일정한 지지세가 있는 민중당과 후보 단일화를 원한다.
한국당 역시 지지기반이 일부 겹치는 바른미래당과 후보 단일화 논의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민중당, 바른미래당은 두 정당의 러브콜에도 창원시장 후보들의 완주 의지가 강하다고 밝혔다.
seam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