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이 율 기자 = 정부가 청년실업 해소를 위한 추가경정예산 편성을 검토하겠다고 밝히면서 그 규모에 관심이 쏠린다.
청년실업 해소를 위해 정부가 마련하고 있는 특단의 대책을 위해 얼마나 재원을 쏟아붓기로 할지가 관건이지만, 활용 가능한 재원이 어느 정도인지도 주목된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2/07/26/C0A8CA3D000001616E1B35FE0000F133_P2.jpeg)
23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추경예산 재원으로 활용이 가능한 지난해 세계잉여금은 11조3천억원에 달한다.
국가재정법에 보면 정부는 전년도 세계잉여금의 최대 49%와 올해 예상되는 초과세입을 추경예산안의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에 근거해 계산하면 정부가 세계잉여금에서 추경예산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금액은 5조5천370억원이 된다. 이 중 약 2조원 가량이 추경예산 재원으로 활용가능할 것이라는 게 정부 관계자들의 분석이다.
여기에 올해 예상되는 초과세입액도 추경예산의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정부는 올해 세입예산이 268조1천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앞서 자유한국당 추경호 의원은 올해 초과세수가 14조6천억∼22조9천억원에 달할 것이라고 추산한 바 있다.
정부가 전망한 올해 명목 경제성장률 4.5%와 최근 5년간 평균 국세탄성치를 적용해 보수적으로 추계했을 때 올해 국세수입액은 세입예산보다 14조6천억원 많은 283조원 수준에 이를 것이라는 추산이다.
만약 지난 2년간 평균 국세탄성치를 적용할 경우 국세수입전망은 올해 세입예산보다 22조9천억원 많은 291조원에 이르러, 약 20조원 내외 규모의 초과세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추 의원은 내다봤다.
추 의원은 지난해 말 보도자료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20조~30조원 규모의 슈퍼추경이 추진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해 국세수입은 254조4천억원으로, 예산보다 14조3천억원 초과 징수됐다.
여기에 더해 정부는 국채 발행을 통해 추경 재원을 마련할 수 있다. 정부는 다음달 중순 경쟁입찰 방식으로 50년 만기 국고채 발행을 추진한다. 정부는 2천억∼3천억원 수준을 발행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23일 이틀 연속으로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을 배제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김 부총리는 이날 세종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예그리나 어린이집 졸업식에 참석한 뒤 기자들과 만나 "청년 일자리 문제 해결을 위해 특단의 대책을 준비 중이며 필요하면 추경도 배제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yulsi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