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 주재 러시아대사 "언론, 미리 짜고 허위정보·선전 유포"
러 요구 '극단조직 배제안', 현행 '안전지대'와 비슷…실효성 한계
(이스탄불=연합뉴스) 하채림 특파원 = 러시아는 22일(미국동부 현지시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시리아 반군 점령지 동(東)구타 휴전안 표결을 무산시키며 공세를 계속할 것이라는 의지를 숨기지 않았다.
러시아는 새로운 휴전안을 제출할 예정이나, 정치적 타협의 산물로 이 수정안이 채택된다고 해도 그동안 동구타 '긴장완화지대' 운영 실태와 러시아의 논리에 비춰 본다면 전면 휴전을 기대하기 어렵다.

이날 유엔 주재 러시아대사 바실리 네벤쟈는 유엔에서 최근 동구타와 관련한 주류 언론의 보도가 '허위 정보'이고 '선전'이라고 주장했다.
네벤쟈 대사는 최근의 동구타 관련 언론 보도를 두고 "집단 정신병"이며 "미리 짜고서 반복적으로 유포하는 소문"이라고 폄하했다.
민간인 대량 살상 사실 자체를 부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민간인 피해 상황은 지난 7년간 시리아내전에서 객관성과 독립성이 어느 정도 검증된 민간단체 '시리아인권관측소'의 보고 자료다.
이밖에도 다양한 구호단체, 아마추어 저널리스트의 증언, 영상, 사진이 매일 쏟아지고 있다.
더욱이 시리아 육군 호랑이부대(까와트 알니므르) 수헤일 알하산 여단장은 소셜미디어에 공개한 영상에서 "전투로, 불로 그들에게 교훈을 주겠다. 구조자도 찾을 수 없을 것"이라며 대대적인 공격을 퍼붓겠다고 위협했다.

러시아는 안보리에 극단주의 테러조직을 제외하고 휴전을 시행하는 수정안을 22일 제출했다. 휴전을 하더라도 수니파 무장조직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 연계 조직, 또 이들을 지원하는 단체는 배제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동구타는 이미 러시아 주도로 긴장완화지대, 속칭 '안전지대'로 설정된 곳이다. 긴장완화지대는 휴전과 구호가 시행된다. 다만 IS나 알카에다 등 테러조직은 휴전 대상이 아니다.
러시아는 동구타를 긴장완화지대로 지정하고도 동구타의 반군이 극단주의 조직이라는 이유로 공습과 폭격을 퍼붓고 있다.
현재 동구타에서 지배적인 반군 조직은 '자이시 알이슬람'과 '파일라끄 알라흐만'이다. 이들은 때에 따라 알카에다에 뿌리를 둔 '하이아트 타흐리르 알샴'(HTS)과 협력하기도 했다.
앞서 21일 러시아군은 정전 협상이 결렬된 사실을 공개하면서 동구타의 반군 조직을 '불법 무장조직'이라고 표현했다.
따라서 '극단주의 조직'을 휴전에서 제외한 러시아의 수정안이 안보리에서 채택된다고 해도, 러시아·시리아군이 대테러전을 수행한다는 이유로 원하는 장소·시간에 동구타를 공격하더라도 차단하는 데 한계가 있다.
서방은 이러한 러시아의 의도를 알면서도 휴전 자체를 무산시킬 수는 없어 딜레마에 빠졌다.
유엔 안보리는 23일 11시(미국동부 현지시간) 러시아의 수정안을 표결에 부칠 예정이다.
시리아인권관측소 보고에 따르면 18일 오후 시작된 시리아군의 무차별 공습으로 현재까지 주민 403명이 숨졌다. 이 가운데 95명은 어린이다.
다친 사람도 2천명이 넘는다.
미국의 비영리기구 머시코 등이 구성한 시리아국제엔지오지역포럼(SIRF)은 23일, "국제 구호기구들이 안보리에 뭐든지 하라고 수없이 경고신호를 보냈지만, 폭력과 잔혹함은 더 심해지기만 한다"고 개탄했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