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관동대 연구팀 성과…"재생의료 산업 분야에 도움 기대"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26/AKR201802261320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연구재단은 김순학 가톨릭 관동대 교수 연구팀이 엑소좀을 이용한 고효율 세포 직접분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각종 유전 질환과 난치성 질병 치료 연구는 의료계의 오랜 과제 중 하나다.
여러 연구 중 세포 직접교차분화 기술은 차세대 줄기세포 기술로 주목받는다.
직접분화 기술은 체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 단계를 거치지 않은 채 바로 목적 세포로 전환되도록 한다.
전환 과정에서 암세포가 될 확률이 비교적 낮다는 평가를 받는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26/AKR20180226132000063_02_i.jpg)
연구팀은 초음파로 만든 엑소좀을 이용해 짧은 기간에 대량으로 신경 전구세포를 생산할 수 있도록 기술을 고도화했다.
엑소좀은 세포 간 정보교환을 위해 mRNA(DNA 유전정보를 받아 단백질 합성 정보를 전달하는 물질), 마이크로 RNA, 단백질 등을 세포 밖으로 분비하는 50∼200㎚ 크기 물질이다.
연구팀은 엑소좀이 피부세포에 유입되면 닷새 안에 70% 이상이 신경 전구세포로 유도되는 것을 확인했다.
이 세포는 생체 내 이식 후 신경세포, 별 아교 세포, 희소 돌기 아교 세포로 분화했다.
초음파로 유도된 엑소좀에는 유전정보가 들어 있다.
엑소좀이 세포에 유입되면 세포 분화 관련 신호 경로가 활성화하는데, 이 때문에 염색체가 탈메틸화해 신경 전구세포로 분화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2/26/AKR20180226132000063_03_i.jpg)
김순학 교수는 "엑소좀에 따른 신경 전구세포 유도 기술은 안전하고 단기간에 대량 생산할 수 있어 경제적"이라며 "치매나 파킨슨병, 헌팅턴병 등 신경질환의 자가 줄기세포 치료 가능성을 높이는 한편 재생의료 산업 분야의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자)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20일 국제학술지 'ACS 나노'(ACS Nano)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