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아이폰 사용자 사생활 포기했나" 비난 쏟아져
애플 "어쩔 수 없는 선택…암호화키 통제권 계속 유지할 것"
(샌프란시스코=연합뉴스) 김현재 특파원 = 애플이 중국 본토에 등록된 아이클라우드(iCloud) 계정을 28일 중국 국영 서버로 이전했다.
이에 따라 중국 내 아이클라우드 사업권은 구이저우(貴州) 지방정부가 소유하고 있는 구이저우 클라우드 빅데이터로 넘어갔다.
중국 정부는 지난해 6월 범죄와 테러를 예방하고 중국 시민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해 모든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국 내에 두어야 한다는 취지로 관련 사이버 법을 개정했다.
애플은 몇 달간 이 법을 거부했지만, 중국의 압박에 결국 무릎을 꿇고 지난 1월 12일 새로운 법에 따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광대한 중국 시장과 아이폰의 생산기지 역할을 하는 중국 내 생산시설 등 다양한 이해관계가 애플의 결정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애플 대변인은 "새 법을 지키지 않는다면, 우리는 중국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중단할 수밖에 없었다"면서 "서비스를 중단하면 중국 고객은 나쁜 사용자 경험과 더 악화하는 데이터 보안 문제를 겪게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지난 2016년 샌 버나디노 총기 사건 테러리스트의 아이폰 암호를 해독하라는 미국 FBI의 요구와 법원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이를 '과잉 행동'이라며 거부했던 애플이 중국 당국의 압박에 굴복한 것은 중국 사용자의 사생활을 사실상 포기한 것 아니냐는 비판과 우려가 고조되고 있다.
국제인권단체인 휴먼라이츠워치의 소피 리처드슨 중국 담당 이사는 "만약 중국 당국이 암호화된 키와 관련해 비슷한 요구를 할 경우 애플이 거절할 수 있겠느냐"고 따졌다.
앰네스티 인터내셔널은 성명을 통해 "아이클라우드의 변경은 중국의 억압적인 법적 환경으로 인해 사용자 프라이버시와 보안에 대한 애플의 약속이 지켜지기 힘들어지는 가장 최근의 징후"라고 말했다.
로널드 다이버트 토론토 대학 교수는 CNN 인터뷰에서 "과거 중국 당국이 애플의 이용자 데이터에 접근하려면 국제법 절차를 밟아야 하고 사용자 권리에 대한 미국의 법을 준수해야 했다"면서 "그러나 계정이 중국 국영 서버로 옮겨지고 잠금 해제 권한이 중국 관할권 내에 있게 되면 더는 그럴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국경없는기자회(RWB)는 최근 중국 내 외신기자들에게 '중국의 아이클라우드 계정을 갖고 있다면 이를 다른 나라 계정으로 옮기거나 폐쇄할 것'을 촉구했다.
애플 대변인은 이에 대해 "우리는 어떤 백도어(backdoor)도 만들지 않았으며, 아이클라우드 데이터의 암호화키에 대한 통제권을 계속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아마존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다른 미국의 대형 IT 회사들도 새로운 중국의 사이버 법에 따라 중국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어 클라우드 서비스를 운영하고 있다.
kn020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