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인 "통영 마지막 제조업체인데"…케이블카·루지 등 관광산업 '위안'
(통영=연합뉴스) 이정훈 박정헌 기자 = 한때 직원 수만 9천 명에 달했던 국내 굴지의 중형조선소엔 텅 빈 작업장을 배경으로 적막감만 감돌고 있었다.
법정관리 계획이 발표된 지 이틀째인 9일 경남 통영시 성동조선해양에는 출입을 통제하는 직원 2∼3명만 눈에 띌 뿐 인적을 찾기 힘들었다.
본관 출입구는 쇠사슬에 묶인 채 자물쇠로 굳게 잠겨 있었다. 공장 내부에 덩그러니 방치된 크레인 등 각종 설비를 통해 과거 활황 때 모습을 언뜻 짐작할 수 있을 따름이었다.
'성동조선 무너지면 지역경제 파탄 납니다', '성동조선 반드시 살려냅시다' 등 문구를 담고 회사 주변 곳곳에 나붙은 펼침막들이바람 소리를 내며 공허하게 흔들리고 있었다.
성동조선이 자리한 통영 안정일반산업단지와 인근 상가는 스산하다 못해 적막했다.
과거 같았으면 이곳에 입주한 회사 직원과 상인 등으로 활기를 띠었으나 이제는 모든 발길이 뚝 끊겼다.
상점 입구 곳곳엔 '임대' 문구가 붙어있었다. 임대마저 포기한 듯 아예 문을 닫은 채 버려둔 것처럼 보이는 점포도 눈에 띄었다.
몇 년 전 조선산업 활황기 때만 하더라도 통영지역 중형조선소 6곳에는 1만8천여 명의 직원들이 선주측 납기를 맞추느라 바삐 움직였다.
그러나 불황기가 닥치며 수주가 어려워지자 21세기조선·삼호조선·신아SB·가야중공업·SPP조선 등이 잇따라 문을 닫았다.
이런 상황에서 마지막 남은 조선소나 다름없는 성동조선도 존폐의 갈림길에 서 있다.
2010년 협력업체를 포함한 직원 수가 9천여 명이었던 성동조선에 남은 직원은 현재 1200명에 불과하다.
그나마 이들 중 1천 명은 작년부터 유급휴직 중이다. 최고 60여곳이었던 사내협력사도 현재 2곳만 남은 실정이다.
성동조선 관계자는 "혹시나 회사가 회생하지 못하고 청산되는 게 아닐까 하는 우려가 있는 것이 사실"이라며 "직원들도 불안정한상황에서 이직마저도 쉽지 않아 내부적으로 술렁대며 긴장감마저 감돌고 있다"고 말했다.
노조는 "성동조선에 대한 법정관리 결정이 금융 논리로 조선산업을 재단한 결과"라며 정부와 채권단에 맞서 투쟁하겠다고 선포했다.
진작 기울기 시작한 통영 경제가 성동조선 법정관리 방침으로 더 타격을 받은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2014년 상반기 약 7만300명이었던 통영 취업자 수는 지난해 하반기 6만1천800여 명으로 1만 명 가량 줄었다.
부동산 가격도 하락 추세로 조선소 직원들이 주로 머물던 원룸가엔 공실률이 80%에 달하는 곳도 있다.
평균 월세도 50∼60만원에서 10∼20만원으로 급락했다.
인근 부동산 관계자는 "방은 넘쳐나는데 나가는 사람만 있고 들어오려는 사람은 찾아볼 수가 없다"며 "몇 년 전만 하더라도 들어갈 방이 없어 고민이었는데 이제는 정반대가 됐다"고 한숨을 쉬었다.
이상근 통영상공회의소 회장은 "성동조선해양 법정관리는 통영주민들에게 황당하고 참담한 소식"이라고 털어놨다.
그는 "관광·수산업을 제외하면 별다른 제조업이 없는 통영에서 성동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은 절대적이었다"라며 "통영시 전체에 이번 정부 결정 여파가 미칠 것이며 음식점, 원룸·아파트 등 부동산 산업이 특히 걱정스럽다"고 우려했다.
성동조선해양에 블록 등을 납품하기도 했던 조선협력업체 대표 이모 씨는 채권단인 수출입은행이 그동안 오로지 금융의 관점에서만 성동조선해양을 다뤘다고 지적했다.
그는 "성동조선해양은 산업 측면, 지역경제 균형발전 측면, 고용창출 측면에서 봐야 하는데 채권단은 재무적으로만 평가해 법정관리 결정을 한 것 같다"고 비난했다.
이어 그는 "다른 조선업체들이 몰락하면서 성동조선해양은 통영에 남은 유일한 제조업체이자 조선소다"며 "법정관리는 조선소 직원, 협력업체들뿐만 아니라 이들을 보고 장사를 해 온 시민들에게 사형선고나 다름없다"고 말했다.
지역 조선업이 쇠퇴함에 따라 통영시는 지역 폐조선소를 관광자원화하는 등 수산·관광업의 경쟁력을 길러 지역 경기 침체를 막겠다며 충격 최소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시의 이런 정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면서 시내 무전동이나 죽림신도시 등은 성동조선이 위치한 안정산단과 다르게 유입인구가 꾸준히 늘면서 경제적으로 활력을 띠고 있다.
또 미륵도 신아sb 부지를 도시재생 뉴딜사업 대상지구로 선정해 이곳을 세계적인 관광·해양 복합 허브로 조성하는 등 폐조선소를 활용할 계획도 세우고 있다.
시 관계자는 "지역 경제의 절반을 차지하던 조선업이 2010년대 들어 쇠퇴하기 시작하면서 그 대안으로 수산·관광업을 육성하기 시작했다"며 "케이블카를 시작으로 루지, 음악당, 호텔 등이 인기를 끌고 굴 등 통영의 청정해역에서 자란 각종 수산물 관련 사업도 점차 성장 중"이라고 설명했다.
home122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