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13/AKR20180313071651001_05_i.jpg)
민주 "檢, 밥그릇 지키기 안돼…공수처 긍정 검토해야"
한국당 "검찰이 여권에서 하명받아 수사…윤석열만 보여"
'미투' 운동 수사도 공방…염동열 거취 두고 정회 잇따라
(서울=연합뉴스) 임형섭 고상민 기자 = 국회 사법개혁특별위원회의 13일 검찰청 업무보고에서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공수처) 설치 문제, 검찰의 정치 중립성 문제 등을 두고 여야간 치열한 공방이 벌어졌다.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공수처 설치의 당위성을 강조하면서 문무일 검찰총장의 입장 표명을 촉구했다.
반면 자유한국당 등 야권에서는 "검찰이 여권의 하명을 받아 수사하고 있다"며 사법부로서의 '정치 중립성'을 문제 삼았다.
이런 가운데 강원랜드 채용비리 수사외압 사건에 연루됐다는 의혹을 받는 염동열 의원의 특위 사퇴 여부를 두고 여야가 충돌하면서 두 차례에 걸쳐 회의가 정회하는 등 진통이 거듭됐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13/AKR20180313071651001_04_i.jpg)
우선 민주당 백혜련 의원은 문 총장을 향해 "공수처 입장 업무보고는 딱 한 장이고, 수사권 조정에서도 놀부 심보가 보인다"며 "아직도 검찰이 정신을 못 차렸다"고 지적했다.
백 의원은 "밥그릇 지키기 식의 대응을 하면 안 된다. 공수처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문 총장은 수사 범위 문제에 대해서는 "직접 수사분야를 상당히 축소해야 한다고 본다. '범죄와의 전쟁' 이전 수준까지 돌아가야 하는 것 아닌가 싶다"면서도 공수처 문제에 대해서는 "국회 논의 결과를 받아들이겠다"는 답변을 되풀이했다.
그러자 민주당 박범계 의원은 "온종일 문 총장의 답을 받아낼 때까지 특위를 계속하겠다"고 답답한 마음을 드러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13/AKR20180313071651001_03_i.jpg)
박 의원은 "국민이 문재인 대통령을 뽑았고, 문 대통령은 20여 년간 검찰개혁을 위한 공수처 설치를 가슴에 품어 왔다"며 "공수처 설치가 오히려 검찰의 잘하는 부분을 돋보이게 할 수 있다"며 공수처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13/AKR20180313071651001_02_i.jpg)
반면 한국당 장제원 의원은 "문 총장은 공수처에 대해 사실상 반대이지 않나"라며 "청와대 조국 민정수석의 안이나, 검찰개혁위원회의 안을 전면 거부한 것 아닌가"라고 말했다.
이에 문 총장은 "생각이 다를 수 있다. 거부하는 것과 생각이 다른 것은 차이가 있다"고 답했다.
한국당에서는 검찰의 정치 중립성 문제를 집중적으로 거론했다.
여상규 의원은 "검찰에서 문 총장은 보이지 않고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만 보인다는 말이 많다"며 "대통령 하명 사건만 서울지검에서 수사하고, 그 대부분이 정치적 중립을 해치는 내용"이라고 지적했다.
윤상직 의원은 "지금 검찰을 두고 '윤석열 검찰이냐, 문무일 검찰이냐'라는 국민적인 의아심이 있다"며 "윤 지검장은 법무부 장관이나 검찰총장도 없는 상태에서 임명됐고, 총장이 지휘·감독을 할 수 없는 사람이 됐다. 고삐 풀린 말처럼…"이라고 비판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3/13/PYH2018031305680001300_P2.jpg)
이날 회의에서는 '미투'(Me Too·나도 당했다) 운동과 맞물려 검찰 내외부나 정치권 안팎에서 불거진 성폭력 문제에 대한 수사가 도마 위에 오르기도 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3/13/PYH2018031313110001300_P2.jpg)
민주당 이철희 의원은 "2013년 7월 현직 검사 2명이 필리핀에서 성 접대를 받았는데 처벌을 받지 않았다"며 "대신 이걸 제보한 사람이 구속됐다더라. 이 제보자를 고소한 사람은 성 접대를 받은 검사의 친형이다. 삼류소설 아니냐"라며 제대로 된 수사를 촉구했다.
같은 당 이재정 의원도 "장자연 사건이 최초의 미투 운동 아니냐. 언론사 사장이 관련돼 있어서 묻혔다는 의혹이 있다"며 "(수사를) 다시 검토해달라"라고 촉구했다.
한국당 곽상도 의원은 "여당 현역 의원이 법무법인에 계실 때 성추행 의혹을 덮도록 종용했다는 기사도 있었고,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에 대해서도 과거 성폭력을 은폐했다는 기사가 있었다"며 "검찰은 야당은 불러서 조사하고 정부 쪽이나 여당은 조사를 안 한다"고 '형평성'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의 술자리 친구라는 고은 시인에 대해서도 폭로가 나왔다"라고 발언했고, 이에 민주당 의원들 사이에서는 "대통령 술친구라니, '지라시'를 보고 발언을 하나"라며 거센 항의가 나왔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8/03/13/PYH2018031306180001301_P2.jpg)
한편 이날 특위는 염 의원의 특위 참여 여부를 두고 여야가 충돌하면서 오전과 오후 한 차례씩 정회하는 등 파행을 거듭했다.
우선 오전에는 여당 의원들이 "검찰의 조사 대상인 염 의원이 검찰총장에게 질의하는 것은 옳지 않다"며 염 의원의 사퇴를 요구했으나, 한국당에서 부당한 인신공격이라고 맞서면서 한때 회의가 20여 분간 정회했다.
오후 들어 염 의원이 질의하려고 하자 민주당 간사인 박 의원은 "오후에는 염 의원이 안 나오기로 하지 않았나"라고 항의했다. 염 의원은 이에 "지나가는 말로 한 얘기""라고 말했고, 이에 민주당이 항의 강도를 높이면서 정성호 위원장은 거듭 정회를 선포했다.
민주당 특위 위원들은 정회 후에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염 의원의 사퇴를 요구하는 등 공세를 이어갔다.
hysup@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