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13/AKR20180313089100076_01_i.jpg)
(방콕=연합뉴스) 김상훈 특파원 = 학살과 방화, 성폭행을 일삼으며 70만 명 이상의 로힝야족 난민을 국경 밖으로 밀어냈다는 이른바 '인종청소' 의혹을 받아온 미얀마가 남은 로힝야족을 몰아내려 '굶기기 작전'을 진행 중인 것 같다고 이양희 유엔 미얀마 인권특별보고관이 폭로했다.
13일 AP통신 등에 따르면 이 보고관은 전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인권이사회(UNHRC) 회의에서 "미얀마는 서부 라카인주에서 '강제적 굶주림' 정책을 추구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미얀마 정부에 의해 입국이 금지된 이 보고관은 또 "이슬람계 소수민족인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잔혹 행위에는 제노사이드(집단학살)를 입증할 명백한 증거가 있다"며 "사람을 산채로 태우는 등 무차별적이고 광범위한 학살에 관한 믿을만한 보고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보수적으로 추정하더라도 지난해 8월 유혈사태 발생 후 한 달간 최소 730여 명의 5세 미만 아동을 비롯해 6천700명의 로힝야족이 학살됐다"며 "70만 명이 넘는 로힝야족이 피신해 머무는 방글라데시에 조사기구를 설치하고, 국제 소송에 대비해 증거를 수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로힝야 사태를 방관했다는 비판을 받아온 실권자 아웅산 수치를 향해서는 "미얀마 정부 지도부가 이런 잔혹 행위를 중단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지 않은 만큼 책임을 져야 한다"고 했다.
이와 관련, UNHRC가 로힝야족 인종청소 의혹의 실상을 규명하기 위해 지명한 국제조사단장인 마르주키 다루스만은 "우리 조사팀이 입수한 정보는 로힝야족을 상대로 한 잔혹 행위가 극악무도하다는 것을 입증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 조사단이 만난 (로힝야족) 여성들의 몸에는 (군인들로부터) 성폭행을 당할 당시에 생긴 이빨 자국과 상처가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미얀마 정부를 대표하는 틴 린은 이런 구체적인 잔혹 행위 지적에 응하지 않았지만, 수치를 겨냥한 비판에도 적극적으로 대응했다.
그는 "우리 정부 지도부는 그런 범죄행위를 용인하지 않는다. 증거가 있다면 우리는 이에 대해 행동을 취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반박했다.
미얀마 정부는 오는 14일 오후 내외신을 초청해 라카인주의 상황을 설명하고 국경을 넘어 도피한 난민 송환 등에 대한 입장도 밝힌 예정이라고 관영 일간 '더 글로벌 뉴 라이트 오브 미얀마'가 전했다.
meola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