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미세먼지농도 평균치 27㎍/㎥→19㎍/㎥ 이하로
(성남=연합뉴스) 이우성 기자 = 경기도 성남시가 2022년까지 5년간 900억원을 투입해 미세먼지 줄이기에 나선다.
지난해 평균 27㎍/㎥이던 성남지역 초미세먼지 농도를 19㎍/㎥ 이하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2/AKR20180322053300061_01_i.jpg)
이를 위해 차량 매연 줄이기,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 오염원 저감, 민감계층 보호, 미세먼지 예·경보 시민 홍보 등 4개 분야에서 25개 세부사업을 시행한다.
시는 2005년 이전 제작된 2.5t 이상 노후 경유차 9천여대에 조기 폐차비(대당 165만∼770만원)를 전액 지원한다, 매연 저감 장치비(대당 172만2천원∼1천30만8천원)도 전액 지원할 계획이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07/01/PYH2016070107310001300_P2.jpg)
또 친환경 전기차를 사는 사람에게는 대당 최대 1천700만원의 보조금을, 천연가스 버스 보급을 위해 운수회사에 대당 1천20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노후 어린이통학차량의 LPG차 전환도 돕는다. 이를 위해 대당 500만원을 지원한다.
대기오염물질 배출시설에 발생하는 오염원 저감 사업도 편다.
기업이나 사업장 등에서 일반 보일러를 저녹스 버너로 바꾸면 기기용량에 따라 400만∼1천400만원을, 가정집이 친환경 보일러로 바꾸면 16만원을 지원한다.
시는 미세먼지에 민감한 계층을 보호하기 위해 올해 4억8천만원을 들여 영유아 보호시설에 공기청정기 설치와 임대료를 지원하고, 노인 등 민감계층 시설에는 미세먼지 마스크 22만2천매를 보급하기로 했다.
미세먼지 농도는 실시간으로 알려 대비하게 한다.
여수동, 모란 사거리, 분당구청 등 시내 8곳에 설치된 미세먼지(PM10, PM2.5) 측정소에서 농도를 상시 측정해 시내 11곳 전광판, 672개 버스 도착 정보안내단말기를 통해 상황을 전파하기로 했다.
gaonnur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