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 김도경 교수팀 "기존 전극 제조 방법과 차별"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2/AKR201803220927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김도경 신소재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탄소 나노 섬유 사이에 황을 잡아두는 방식을 이용해 리튬-황 기반 이차전지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리튬-황 전지는 차세대 고용량 리튬 이차전지로 주목받는다. 이론적으로는 현존 리튬이온 전지보다 6배 이상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가진다.
최근 전기자동차나 대용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수요가 늘면서 리튬-황 전지 관련 연구도 활발하다.
상용화를 위한 걸림돌은 있다.
황의 낮은 전기전도도, 잦은 충전·방전에 따른 부피 변화, 리튬 폴리설파이드 중간상 배출 현상 등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2/AKR20180322092700063_02_i.jpg)
연구팀은 전기방사를 통해 대량으로 1차원 형태 탄소 나노 섬유를 만들었다.
이어 섬유를 고체 황 분말 분산 슬러리(고체와 액체 혼합물 또는 미세 고체 입자 현탁액)에 적시고서 건조하는 간단한 방법을 통해 접촉 저항을 크게 줄인 황-탄소 전극을 개발했다.
주사전자현미경(SEM)을 통해 관찰한 결과 고체 황이 전기화학 반응 중 중간 산물인 액체 리튬 폴리설파이드로 변화했다.
이들은 탄소 나노 섬유 사이에 일정한 모양으로 맺힌 후 충전과 방전 과정에서 그 형태를 유지하며 녹아 나가지 않았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2/AKR20180322092700063_03_i.jpg)
연구팀은 이 모습을 종이가 물을 흡수하는 것 같은 모세관현상에 비유했다.
복잡하게 황을 감싸지 않고도 황이 탄소 섬유 사이에 효과적으로 가둬지는 것을 발견했다는 뜻이다.
기존 연구 결과가 단위 면적당 황 함량이 2mg/㎠ 안쪽인 것과 비교해 연구팀 성과로는 10mg/㎠ 넘는 황 함량을 달성했다.
이를 기반으로 7mAh/㎠의 높은 면적당 용량을 기록했다. 기존 리튬이온 전지를 넘는 값이다.
논문 1 저자인 윤종혁 박사과정은 "금속집전에 위에 전극 물질을 도포하는 기존 전극 제조 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식"이라며 "앞으로 리튬 이차전지 연구 범위를 넓히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2/AKR20180322092700063_04_i.jpg)
연구는 KAIST EEWS 연구센터 기후변화연구허브사업과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 지원 사업을 통해 이뤄졌다.
김도경 교수와 이현욱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교신 저자로 이름을 올린 연구 논문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올해 18호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