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6/03/29/PYH2016032912240005600_P2.jpg)
(제주=연합뉴스) 전지혜 기자 = 국가 폭력에 의해 수많은 제주도민이 무고하게 희생된 제주4·3이 발발한 지 올해로 70주년을 맞는다.
4·3특별법에서는 4·3을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소요사태와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수많은 주민이 희생된 사건'이라고 정의한다.
정부는 4·3특별법에 따라 진상규명과 희생자 명예회복 사업을 벌이고 있으며, 2014년에는 4월 3일을 국가추념일로 지정했다.
▲ 1947년 3월 1일 = 제주민전 주최 3·1절 기념대회에서 경찰 발포로 주민 6명이 사망하는 사건 발생
▲ 1947년 3월 10일 = '3·1사건'에 항의하는 민관 총파업 돌입. 13일까지 제주도 전체 직장 95%인 166개 기관·단체 동참
▲ 1948년 4월 3일 = 무장봉기 발발. 남로당 제주도당 주도로 무장대가 경찰 등의 탄압에 항의하며 제주도 내 12개 지서를 공격하고 우익단체 요인 집을 습격. 경찰 4명, 민간인 8명, 무장대 2명 사망
▲ 1948년 10월 17일 = 제주 해안에서 5㎞ 이상 중산간 지역 통행금지 명령, 어길 시 총살한다는 포고문 발표. 이후 중산간 마을 곳곳 초토화, 주민 집단총살
▲ 1948년 11월 17일 = 이승만 정부, 제주도 전역에 계엄령 선포
▲ 1949년 1월 17일 = 토벌대, 조천면 북촌리 불태우고 주민 400명가량 집단총살. 훗날 현기영의 소설 '순이 삼촌' 배경이 됨
▲ 1950년 8월 20일 = 모슬포경찰서 관내 예비검속자 344명 중 252명 섯알오름에서 집단총살. 6년 뒤 유족들이 군경의 눈을 피해 유골을 수습, 백조일손지묘를 세움
▲ 1954년 9월 21일 = 한라산 금족 구역 해제
▲ 1960년 5월 = 4·19 혁명 이후 4·3 진상규명 움직임 시작됐다가 5·16 군사정변으로 중단
▲ 1978년 = 소설 '순이 삼촌', '창작과 비평' 가을호에 발표. 금기시되던 4·3 공론화되기 시작
▲ 1989년 4월 = 제주 사회단체 등으로 구성된 '사월제 공동준비위원회'(이하 공준위) 첫 대중적 추모행사 개최
▲ 1993년 3월 20일 =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출범
▲ 1994년 4월 3일 = 제주시 탑동매립지에서 공준위와 유족회가 함께 주최한 첫 합동 위령제
▲ 1995년 5월 = 제주도의회 4·3특별위원회 4·3 피해조사 제1차 보고서 발간
▲ 1999년 3월 8일 = 4·3 진상규명과 명예회복을 위한 도민연대 결성
▲ 1999년 12월 16일 =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국회 본회의 통과, 2000년 1월 12일 공포
![](http://img.yonhapnews.co.kr/etc/graphic/YH/2018/03/30/GYH2018033000010004400_P2.jpg)
▲ 2000년 3월 3일 = 행정자치부에 제주 4ㆍ3 처리지원단 설치
▲ 2000년 5월 10일 = 4·3 특별법 시행령 제정, 공포
▲ 2000년 8월 28일 = 4·3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 출범
▲ 2001년 9월 27일 = 헌법재판소, 4·3 특별법 위헌심판 청구 각하
▲ 2002년 11월 20일 = 4·3 희생자 1천715명 첫 결정
▲ 2003년 4월 3일 = 고건 국무총리 제55주년 4·3 희생자 범도민 위령제 참석. 4·3평화공원 조성 착공
▲ 2003년 10월 15일 = 4·3 진상보고서 확정
▲ 2003년 10월 31일 = 노무현 대통령, 제주 라마다호텔에서 가진 제주도민과 오찬간담회에서 "과거 국가 권력의 잘못에 대해 유족과 도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며 4ㆍ3에 대한 정부 차원의 사과 표명
▲ 2005년 1월 27일 = 제주도 '세계평화의 섬'으로 지정 선포
▲ 2006년 2월 8일 = 4·3 유족회, 제58주년 4ㆍ3 범도민 위령제에 노무현 대통령 공식 초청
▲ 2006년 4월 3일 = 4·3 희생자 위령제 대통령 첫 참석
▲ 2008년 10월 16일 = 4·3평화재단 설립
▲ 2013년 8월 2일 = 4·3희생자유족회·제주도재향경우회 '화해와 상생' 선언
▲ 2014년 3월 18일 = 4·3 희생자 추념일 국가기념일 지정
▲ 2014년 4월 3일 = 제66주년 4·3희생자추념식 처음 국가의례로 봉행
▲ 2017년 4월 19일 = 4·3 수형희생자 중 18명 불법 군사재판 재심 청구
▲ 2018년 3월 21일 = 제주도, 4·3 희생자 추념일(4월 3일) 전국 최초 지방공휴일로 지정
atoz@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