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영 경북대 교수팀, 동북아 장마철 수분 기원 규명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7/AKR20180327163900063_01_i.jpg)
(대전=연합뉴스) 이재림 기자 = 우리나라를 비롯한 동북아시아 여름 장마철 수분의 기원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보고됐다.
한국연구재단은 박선영 경북대 교수 연구팀이 동북아시아 장마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남반구 공기 흐름에 대해 증명했다고 28일 밝혔다.
여름 전후 몬순 기간 동북아 장마 변동성 이해와 예측을 위해서는 공기와 수분 이동에 대한 연구가 필수적이다.
기존 연구 모델은 장마 기간 수분의 기원을 북태평양이나 북인도양 혹은 동중국해에 국한해 살폈다.
그런데 각 해석 결과는 큰 차이를 보여 학자마다 설명 내용이 조금씩 달랐다.
이번 연구에선 그 영역을 남반구 적도로 확장했다.
연구팀은 제주도 남서쪽 해안 절벽에 있는 경북대 온실기체 관측센터에서 2008∼2013년 6년 동안 실시간 관측한 자료를 분석했다.
이를 통해 할로겐화합물 중 수불화탄소류 농도가 매년 장마 기간 4천㎞가량 떨어진 남반구 적도 지역만큼 급격히 낮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할로겐화합물은 대기에 극미량만 존재한다.
수불화탄소는 북반구 산업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남·북반구 간 농도가 극명하게 차이 난다.
이런 상황에서 장마철엔 유독 하루 이틀 만에 급격한 농도 변화를 보였다.
대규모의 공기가 위도를 가로질러 빠르게 이동한다는 직접적인 증거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특히 2011년 항공관측 프로그램 자료를 보면 제주도 고산 여름 공기 농도가 남반구 남위 20도 아래 공기와 일치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27/AKR20180327163900063_02_i.jpg)
연구팀은 아울러 동북아 여름철 공기 흐름을 역추적한 후 유사한 유형의 공기그룹을 분류했다.
그 결과 남반구 적도 공기가 해양성 공기의 40%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규명했다.
남반구 적도 지역 공기가 동북아를 장악하는 동안 전체 장마 강수량 50% 이상의 비가 온다는 점도 입증했다.
박선영 교수는 "국제협약에 따라 규제되는 주요 화학성분은 공기 이동의 추적자로서 기상역학 모델 개선과 검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직접적인 수분 추적자인 강수 내 산소동위원소를 분석하는 한편 대기 중 수분 이동과 분포를 입자 확산 모델로 확인하는 후속 연구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중견연구) 지원으로 수행했다.
성과를 담은 논문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16일 자에 실렸다.
walde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