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미정상회담 앞두고 '보험'들고 싶어해"
(워싱턴=연합뉴스) 송수경 특파원 = 미국 CNN방송은 27일(현지시간) 중국을 방문한 북한 최고위급이 김정은 노동당 위원장일 것으로 분석하면서 "김 위원장의 중국 깜짝 방문은 다가오는 한국, 미국과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가장 가까운 동맹으로부터 지원을 받으려는 차원일 수 있다"고 보도했다.
CNN은 이날 '김정은은 왜 중국을 비밀방문했을까'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북한의 가장 중요한 동맹이면서도 2011년 김 위원장 집권 이후 긴장이 고조돼온 중국과의 관계를 복원, 남북·북미정상회담 과정에서 지렛대로 활용하기 위한 차원일 것이라고 풀이했다.
여기에 북·중 정상회담은 그동안 한반도 상황을 둘러싼 남북미 간 긴박한 움직임 속에서 소외되는 듯했던 중국 입장에서도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지는 부분이 있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집권 후 외국 정상을 공식적으로 만난 적은 한 번도 없었다고 CNN은 전했다.
영국 리즈 대학의 아이단 포스터 카터 선임연구원은 CNN에 "북·중 동맹 관계를 고려할 때 김정은으로선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만나지 않은 상태에서 문재인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회담을 하는 걸 상상하기 힘들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자오퉁(趙通) 칭화대-카네기 세계정책센터 연구원은 "평양은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앞두고 '보험'을 들고 싶어한다"며 "북미정상회담이 매우 중요하지만 위험부담과 불확실성이 크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특히 "회담이 실패한다면 미국은 '외교가 실패했다'고 선언하면서 군사적 공격을 포함한 좀 더 강압적 접근법으로 옮겨갈 수 있을 것"이라며 "이런 상황에서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중국과의 관계가 미국의 군사옵션 개시를 막아줄 것"이라고 내다봤다.
역내 '피스 메이커'를 노리는 중국이 한반도 위기 해법으로 '쌍중단'(雙中斷·북한 핵·미사일 도발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의 동시 중단)을 제안해온 상황에서 북한이 중국의 지원을 등에 업고 쌍중단 또는 그와 유사한 비핵화 로드맵을 제시할 경우 미국 입장에서는 '허가 찔린 격'이 될 수 있다고 CNN방송은 전문가들의 분석을 토대로 전했다.
포스터 카터 선임연구원은 "미국인들에게 북한의 비핵화 절차가 시작됐다는 확신을 어느 정도 심어주는 동시에 북한 내부용으로는 억지력까지 희생시키지는 않았다고 말할 여지를 남겨줄 수 있는 '영리한 공식'을 누군가 만들어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s://img.yonhapnews.co.kr/photo/cms/2017/11/30/01/C0A8CA3D00000160A4D498D00028607_P2.jpeg)
hankso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