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7/08/16/PYH201708161137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오수진 기자 = 학생들이 먹고 남은 급식을 교내 파견 근로자에게 제공하던 암묵적인 관행에 제동이 걸렸다는 소식에 29일 누리꾼들이 '삭막하다'와 '원칙은 원칙'이라는 의견으로 나뉘어 갑론을박을 벌였다.
지난 27일 인천시교육청에 따르면 시교육청은 지난해 12월 5일 각 학교에 '급식비를 징수하지 않는 교직원과 용역업체 직원에게 무상으로 급식을 제공하는 일이 없도록 급식 운영을 철저히 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냈다.
이는 한 시민이 '학생들을 위한 무상급식을 비공식적으로 용역업체 직원들에게 제공하는 것은 국민 세금을 낭비하는 것'이라며 시교육청에 공익신고를 한 데 따른 것이다.
다음 사용자 '한그루'는 "당직 근무하는 경비 아저씨는 낮에 점심 급식 남은 걸 조금 덜어서 저녁에 드시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저런 걸 고발하는 사람, 어려운 사람에게 단호한 잣대를 휘두르는 교육 당국도 참 어이가 없다"라고 비판했다.
'허환석'은 "학생 것 뺏어서 주는 것도 아니고 근무하시는 분들 남은 음식 좀 준다는데 법규에 맞지 않는다면서 그걸 못하게 한다고? 학교폭력, 사교육 문제나 그렇게 좀 처리해라"라고 비꼬았다.
네이버 아이디 'bass****'는 "처우를 더 개선해주지 못할망정…저분들은 서러워서 일하시겠나"라고 안타까워했다.
'yyh7****'는 "정작 원칙을 세워야 할 곳에선 원칙도 못 세우면서 이런 힘없고 어려운 경비원분들한테 원칙을 세워야 속이 편할까"라고 지적했다.
이와 달리 다음 사용자 '이학경'은 "급식비 그렇게 비싸지도 않다. 당연히 비용을 지불하고 먹어야 맞다"고 반박했다.
'뒤로가는마차'는 "제목을 바꾸면 학생들 급식비로 교내 근로자 무상급식"이라며 "더 돕고 베풀지 않는다고 비난받을 일이 아니라 서로 깔끔하게 돈 내고 먹으면 된다. 그냥 원칙을 지키자"라고 동조했다.
'어린양'은 "어차피 남는 거라고 임의로 처리하면 여러 가지 다른 문제들이 생겨요"라고 댓글을 달았다.
네이버 아이디 'ktw3****'는 "용역업체에서 공정하게 식대를 지급하게 하고 그 식대 비용으로 학교에서 같이 식사를 할 수 있게 교육청에서 계도해 주면 된다"라고 제안했다.
sujin5@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