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마다 지역 현안 다양한 해법 주요 공약으로 제시
금호타이어 매각, 강호축 구축, KTX역 유치 등 공약
(전국종합=연합뉴스) 동남권 신공항 재추진, 김해 신공항 건설, 대구공항이전, 경기도 분도,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KTX역 신설, 금호타이어 해외매각, 강호축(江湖軸) 개발.
![](https://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30/AKR20180330135500064_03_i.jpg)
6·13 지방선거를 뜨겁게 달굴 공약들이다.
선거가 2개월여 앞으로 다가오면서 후보들이 지역 발전을 위한 공약을 경쟁적으로 발표하고 있다. 지역 현안을 놓고 치열한 논쟁도 벌이고 있다.
후보들의 주요 공약은 지역의 '핫이슈'로 떠올랐다.
부산시장 선거에서는 '동남권 신공항 건설'을 놓고 여야가 날카롭게 맞서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 장관은 지난달 출마 선언 자리에서 "동남권 신공항은 24시간 운항이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며 "국토교통부가 추진 중인 김해 신공항 기본계획 용역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하며 동남권 신공항의 가덕도 재추진을 공약했다.
재선에 도전하는 자유한국당 서병수 시장은 "거의 10년을 끈 끝에 김해 신공항 확장안이 결정됐는데 일부 후보들이 표를 의식에 가덕도 신공항 카드를 다시 꺼내 들고 있다"며 "김해 신공항 흔들기를 중단해야 한다"고 반박했다.
선거전이 본격화되면 동남권 신공항이 뜨거운 감자가 될 수 있음을 예고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30/AKR20180330135500064_02_i.jpg)
경남에서도 김해 신공항 건설과 관련, 활주로 추가 증설과 항공기 운항 횟수·운항 시간 확대, 소음문제 등을 둘러싼 후보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김해시장 출마 예정자들은 소음과 안전 대책 없는 김해 신공항 건설을 원칙적으로 반대하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신공항 입지 재선정 요구와 활주로 방향을 옮기는 현실적 대안을 찾자는 주장 등이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다.
시민단체들도 소음과 안전 대책에 대한 명확한 입장이 없는 후보의 낙선운동을 선언하고 나서 선거 과정에서 김해 신공항이 핫 이슈가 될 것을 예고했다.
대구시장 선거 역시 공항 문제가 최대 이슈로 떠올랐다.
한국당 권영진 대구시장은 대구공항 통합 이전을 추진하며 재선을 노리고, 다른 여야 예비후보 6명은 대구공항 이전 반대를 잇따라 주장, 권 시장과 전선을 형성하고 있다.
이번 선거에서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대구공항 운명도 크게 달라질 수 있는 셈이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30/AKR20180330135500064_04_i.jpg)
충남지사 선거에서는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 공약이 '뜨거운 감자'다.
한때는 세종시 수정안에 맞서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충청권 이전을 위해 힘을 합쳤지만, 세종시가 팽창하면서 공주와 천안 등 인근 지역의 인구 유출, 주택 미분양 등 빨대 효과가 나타나고 있기 때문이다.
세종시 출범으로 전국에서 충남만 유일하게 혁신도시 선정에서 제외되는 등 오히려 피해를 보고 있다는 위기의식도 작용하고 있다.
최근 정부 개헌안에 수도를 법률로 위임하기로 한 것을 두고도 후보 간 시각차를 보인다.
민주당 복기왕 예비후보와 양승조 의원이 개헌안에 대한 반응을 자제하는 반면 바른미래당 김용필 후보는 개헌안에 세종시 행정수도 완성을 명문화를 요구했다.
충북지사 3선에 도전하는 이시종 지사는 강원∼충청∼호남을 잇는 '강호축'이라는 국토발전을 위한 새로운 개념을 이슈화하고 나섰다.
이 지사는 "그동안 서울에서 대구, 부산을 잇는 경부축을 중심으로 국토가 개발됐지만, 이제는 상대적으로 소외된 강원∼충청∼호남을 잇는 강호축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강호축에 포함된 8개 광역자치단체 협의회 구성을 제안했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30/AKR20180330135500064_05_i.jpg)
광주시장 선거 후보들은 금호타이어 해외매각과 지하철 2호선 건설, 무등산 방공포대 이전 등을 주요 공약에 넣었다.
금호타이어 해외매각은 광주와 전남 곡성에 공장이 있고 수천 명의 생계가 달린 일터이자 1만여 명의 협력업체 근로자들과도 연계된 문제여서 지방선거 이슈 중 단연 톱이다.
선거철마다 등장하는 단골 이슈도 있다.
한강 이북 10개 시·군을 경기도에서 분리해 별도 광역자치단체인 '경기북도'를 만들자는 경기도 분도(分道)는 1987년부터 선거 때마다 거론됐다.
경기지사 출마를 선언한 민주당 양기대 광명시장은 "당선되면 즉각 도지사 직속 경기북도 신설 특별기구를 설치하겠다"고 밝혔다.
같은 당 전해철 의원은 도지사 임기 중에 분도 여부를 묻는 주민투표를 공약했다.
그러나 이재명 전 성남시장은 "행정 편의적인 발상이어서는 안 된다. 도민에게 뭐가 도움되는지를 판단하고, 도민의 의견을 수렴해 결정할 문제"라며 분도 추진에 다소 거리를 뒀다.
![](http://img.yonhapnews.co.kr/etc/inner/KR/2018/03/30/AKR20180330135500064_06_i.jpg)
인천시의 원도심 부흥대책, 대전시의 도시철도 2호선 건설 방식, 울산의 동서 외곽순환도로 건설, KTX 태화강역 유치, 전북 전주 종합경기장 활용 방안, 최근 논란이 되는 미세먼지 대책 등 지역별 현안도 이번 지방선거의 핵심 이슈가 되고 있다.
남기헌 충청대 교수는 "4년간 지역을 이끌어갈 지도자를 선출하는 지방선거에서는 다양한 지역 발전 방안과 현안에 대한 해법이 등장하지만, 실현성이 있는지가 중요하다"며 "후보들의 공약을 꼼꼼히 살펴 냉정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종구 노승혁 한종구 여운창 이종민 이우성 최병길 이해용 이상현 홍인철 이덕기 변우열 기자)
bw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관련뉴스